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뉴스데스크
기자이미지 차현진

[현실이 된 기후재난] 온난화에 빨라진 '모기 침공'‥기후 감염병 늘어나나?

[현실이 된 기후재난] 온난화에 빨라진 '모기 침공'‥기후 감염병 늘어나나?
입력 2024-06-27 20:31 | 수정 2024-06-27 20:44
재생목록
    ◀ 앵커 ▶

    최근 잦은 비와 더워진 날씨에 모기의 등장 시점이 빨라지고, 개체 수도 폭발적으로 늘고 있습니다.

    문제는, 이게 단순히 일상에서 불편함만 주는 게 아니라, 뎅기열과 말라리아 등 인체에 치명적인 질병을 옮길 위험도 키우고 있다는 건데요.

    차현진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 리포트 ▶

    인천공항 인근의 모기 채집소.

    망사 주머니 안에 나방과 파리 등 각종 벌레가 가득합니다.

    [심규형/국립인천공항검역소 주무관]
    "주로 이 자외선 빛을 이용해서 벌레들이 모이게 하고 이 아래 팬이 있어서 등과 바람을 이용해서…"

    근처 또 다른 모기 채집소.

    수십 마리의 모기가 한데 모여 있습니다.

    통을 거둬가는 잠깐에도 모기가 팔 위에 내려앉습니다.

    이날 하루에만 82마리가 잡혔습니다.

    [김영지/국립인천공항검역소 주무관]
    "올해 중에서 한 지점에서 채집한 모기 중에 빨간집모기가 가장 많이 잡힌 날이네요."

    일본 뇌염을 옮기는 작은빨간집모기.

    당국은 이 모기가 최초로 채집될 때 '일본뇌염주의보'를 발령합니다.

    그런데 발령 시점이 최근 20년 새 두 달이나 빨라져 올해는 3월에 내려졌습니다.

    모기의 개체 수도 눈에 띄게 늘고 있습니다.

    서울은 지난달 채집한 모기가 지난 10년 평균의 2배를 웃돌았고, 광주에서는 무려 지난해의 7.7배 더 잡혔습니다.

    원인은 이른 더위.

    월동을 한 모기들이 봄철 이상고온에 활동 시점을 앞당기고 번식력도 왕성해졌습니다.

    [조유라]
    "이제 작년이나 옛날 같은 경우에는 (모기가) 이제 7~8월 장마 좀 습기 있을 때 많이 나타났던 것 같은데 요즘은 벌써 6월에 나타나서…"

    문제는 모기가 옮기는 '질병'의 위험도 커졌다는 겁니다.

    '얼룩날개모기'가 매개인 말라리아.

    작년 말라리아 환자는 740여 명으로 2020년(385명)의 두 배로 늘었습니다.

    올 첫 말라리아 주의보는 지난 18일로 작년보다도 일주일 더 빨랐습니다.

    검은색 몸통에 흰색 줄무늬가 선명한 모기.

    산에서 주로 서식하는 '흰줄숲모기'입니다.

    중남미나 동남아에선 뎅기열을 옮깁니다.

    심하면 사망할 수도 있는 뎅기열은 아직 치료제가 없습니다.

    [권형욱/인천대 생명과학부 교수]
    "모기는 사실은 단일 질병으로 감염병에서 거의 1위예요…(뎅기열) 중증은 뇌출혈돼서 죽고 그런데 문제는 뭐냐하면 뎅기에 대한 아직까지 백신이 없습니다."

    국내 뎅기열 환자는 해외에서 감염돼온 경우만 보고돼있지만 전문가들은 토착화 가능성을 경고합니다.

    [이동규/고신대 보건환경학부 석좌교수]
    "(현재는) 바이러스를 가지고 있는 모기가 있다 하더라도 겨울을 넘기지 못하죠 아직은 괜찮은데 이제 2050년 이후가 지나면은 1월달 기온이 10도 이상 될 수 있다라고…그때 되면 위험할 수 있죠."

    질병관리청도 기후변화로 곤충 매개 감염병 위험이 커지고 있다며 기후보건 중장기 전략을 추진하겠다고 밝혔습니다.

    MBC뉴스 차현진입니다.

    영상취재: 장영근, 한재훈 / 영상편집: 송지원

    MBC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02-784-4000
    ▷ 이메일 mbcjebo@mbc.co.kr
    ▷ 카카오톡 @mbc제보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인기 키워드

        취재플러스

              14F

                엠빅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