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뉴스데스크
기자이미지 손지윤

[현장36.5] 우리는 모두 사투리로 살아간다

[현장36.5] 우리는 모두 사투리로 살아간다
입력 2024-10-12 20:24 | 수정 2024-10-12 22:06
재생목록

    ◀ 앵커 ▶

    사투리는 지역의 정서가 녹아있는 우리말이죠.

    하지만 어쩌면 가까운 미래에는 사투리를 주변에서 쉽게 들을 수 없게 될지도 모르겠습니다.

    제주어는 사용률 0.7%로 이미 소멸 위기에 처했고, 경상방언, 전라방언의 사용률도 줄어들고 있습니다.

    이렇게 사라져가는 사투리를 아끼고 지키려 애쓰는 사람들이 있는데요.

    손지윤 영상기자가 만나봤습니다.

    ◀ 리포트 ▶

    "2, 1. 큐!"

    [양인실/제주어뉴스 진행자]
    "다덜 펜안했지양. 제주어 뉴스우다."

    [양인실/제주어뉴스 진행자]
    "중국어 뉴스나 영어 뉴스도 하고 있거든요. 외국어로도 할 수 있다면 제주어로도 할 수 있는 것 아니야라는 개념을 가지고 접근하게 됐고."

    [양인실/제주어뉴스 진행자]
    "아나운서도 이 안에서는 표준어로 말하지만, 자기 고향 말 안 하고는 안 살 것 같다는 생각이 들더라고요. 제주어만 아니라 다양한 지역어를 가지고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어야 한다고 생각하거든요."

    [문영은/국립한글박물관 학예사]
    "제주어가 소멸 위기 언어라고 하지만, 삶의 언어로 제주어를 많이 사용하고 계세요."

    [문영은/국립한글박물관 학예사]
    "'작다'를 '족다'라고 한대요. '작은 쇠로 만든 눈'이라고 해서 이제 족쇄눈이라고 하거든요."

    광주 송정시장 안의 한 가게.

    간판에 적힌 낯선 사투리가 사람들의 발길을 끌어당깁니다.

    [김효미/역서사소 대표]
    "전라도에 있다 보니, 광주 사투리 언어에 조금 더 집중해서 라이프 스타일 굿즈를 판매하고 있습니다."

    [김효미/역서사소 대표]
    "<'귄있는'이 무슨 뜻이에요?> 볼수록 예쁘다. 볼수록 매력 있다."

    [김효미/역서사소 대표]
    "'귄 있다'든지, '포도시'라는 말이라든지 요즘은 잘 안 쓰는 말들은 (젊은) 친구들은 모르는 것 같아요."

    지역의 사업가들이 모이니, 일상의 사투리조차 아이디어 상품이 됩니다.

    [김효미/역서사소 대표]
    "'겁나게 고맙네잉' 이런 것도 카드에서 음성 지원되면 좋겠다."

    [서건국]
    "저는 광주를 많이 사랑합니다. 진짜 사랑하는데. 요즘 사람들이 너무 각박해졌는지, 사투리 안 쓰려고 해."

    [양인실/제주어뉴스 진행자]
    "'사랑한다'는 건 사실 '살아있는 것'이기도 하잖아요. 사투리가 사라진다고 하면 문화도 사라지겠지만, 저처럼 사람도 같이 없어지는 게 아닌가."

    [김효미/역서사소 대표]
    "그 지역에 살아가고 있는 사람들의 삶이 묻어 있는 언어인데, 사람들이 잊지 않았으면 하죠."

    [문영은/국립한글박물관 학예사]
    "우리 모두는 방언 화자이고요. 자신이 가지고 있는 이 언어 문화를 마음껏 드러내고 사용하셨으면 좋겠다."

    [김효미 역서사소 대표]
    "아따 우덜은 모다"
    [양인실 제주어뉴스 진행자]
    "사투리영 고찌 살아가는 사람덜이우다."

    취재·구성: 손지윤 / 영상편집: 허유빈

    MBC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02-784-4000
    ▷ 이메일 mbcjebo@mbc.co.kr
    ▷ 카카오톡 @mbc제보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인기 키워드

        취재플러스

              14F

                엠빅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