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뉴스데스크
기자이미지 현인아

한국이 새 참치 고향으로, 바닷물에서 참치 DNA 급증

한국이 새 참치 고향으로, 바닷물에서 참치 DNA 급증
입력 2024-11-26 20:34 | 수정 2024-11-26 21:18
재생목록
    ◀ 앵커 ▶

    참다랑어는 주로 따뜻한 해역에서 서식하는 어종인데요.

    바닷물 속의 수중 생물 DNA를 분석해 봤더니, 우리 바다에 참다랑어 DNA가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원인이 뭔지, 현인아 기후 전문기자가 설명해 드립니다.

    ◀ 리포트 ▶

    지난 6월, 강원도 동해안에서 잡은 커다란 물고기가 어선에 가득합니다.

    참다랑어입니다.

    태평양의 따뜻한 물에서 사는 참다랑어가 따뜻해진 바닷물을 따라 동해로 북상했습니다.

    제주도 근해에서 잡힌 커다란 참다랑어를 바닥으로 내리고 있습니다.

    가장 큰 다랑어는 150kg이 넘습니다.

    이렇게 큰 참다랑어가 대량으로 잡힌 건 이전에는 보기 드물던 현상입니다.

    2021년에는 독도 부근에서 참다랑어의 알도 발견됐습니다.

    우리 바다가 참다랑어가 들렀다가 가는 곳이 아니라 새로운 산란장으로 바뀌고 있습니다.

    이런 변화는 바닷속 유전자 분석에서도 드러났습니다.

    범죄 현장의 유전자 감식반처럼, 연구진은 바닷속의 DNA를 수집해 분석하면 어떤 물고기와 생물이 돌아다니는지 알아낼 수 있다고 말합니다.

    [유효재/국립수산과학원 수산자원센터 연구사]
    "지느러미 조각이나 해양 포유류의 피부 세포 조직 같은 곳에는 DNA가 있습니다."

    지난해 5월 남해 동부 해역에서 수집한 DNA를 분석한 결과입니다.

    35가지 어종이 확인됐는데 그중 가장 많이 발견된 것은 참다랑어의 DNA였습니다.

    두 번째로 많은 건 정어리, 세 번째는 멸치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지도에서 붉은 점은 참다랑어의 알이 발견된 곳인데요.

    2021년에는 독도 한 곳이었지만 지난해는 동해 전역과 부산 앞바다, 제주도 남쪽 해상까지 참다랑어 알이 발견된 해역이 급증했습니다.

    [유효재/국립수산과학원 수산자원센터 연구사]
    "환경 DNA를 분석해 본 결과 가장 먼저 그들의 출현을 확인할 수 있었고요. 변화 패턴을 보면 앞으로 어디에 얼마만큼 출현할 것인가에 대한 동향도 어느 정도 파악할 수 있습니다."

    참다랑어가 우리 바다로 몰려드는 원인 중 하나는 바닷물 온도가 빠르게 상승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올해 한반도 주변 바닷물 온도는 20.5도로 위성 관측이 시작된 이후 최고치를 경신했습니다.

    역대 최장 71일간 이어진 고수온 주의보는 사상 처음으로 10월 초까지 계속됐습니다.

    더 뜨거워진 바다에서 늘어나는 종이 있다면 살오징어와 명태 등 줄어드는 종도 많습니다.

    겨울이 다가오는 11월 중순의 강릉 앞바다.

    따뜻한 바다를 좋아하는 전갱이 무리가 바다를 누빕니다.

    사람이 다가가자 주위를 둘러싸며 원을 그립니다.

    변화하는 지구에서도 인간과 자연은 공존의 길을 찾아야 합니다.

    MBC뉴스 현인아입니다.

    영상취재: 김준형, 박경종, 손원락(경남), 양성주(강원 영동) / 수중촬영: 윤용한 / 영상편집: 송지원

    MBC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02-784-4000
    ▷ 이메일 mbcjebo@mbc.co.kr
    ▷ 카카오톡 @mbc제보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인기 키워드

        취재플러스

              14F

                엠빅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