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커 ▶
앞서 보신 랜딩기어 문제가 사고의 직접적인 원인이라면, 대형참사를 일으킨 원인으로는 활주로 끝에 있는 구조물이 지목되고 있습니다.
이 구조물은 조종사에게 활주로를 안내하는 '로컬라이저'라는 장비인데, 정부는 이런 구조물의 재질과 위치가 규정상 문제가 없다는 입장이죠.
하지만 지난 5월 무안공항이 당국으로부터, 구조물 위치가 안전기준을 지키지 못했다는 지적을 받은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먼저, 박소희 기자의 보도입니다.
◀ 리포트 ▶
사고 당시 제주항공 비행기는 시속 300킬로미터가 넘는 속도로 활주로를 질주했습니다.
이어 활주로를 벗어나 약 260미터를 질주해, 활주로 안내 시설인 '로컬라이저' 구조물과 충돌했습니다.
2미터 높이의 두터운 콘크리트 구조물과 정면으로 부딪친 비행기는 거센 화염에 휩싸였습니다.
국토부는 활주로와 구조물과의 거리는 규정상 문제가 없다는 입장입니다.
활주로 끝에 남겨두는 여유 공간인 '종단안전구역' 밖에 있다는 겁니다.
실제 무안공항의 종단안전구역은 199미터로 설정돼 있는데, 해당 로컬라이저는 이를 기준으로 60여 미터 뒤에 설치 돼 있습니다.
[김홍락/국토교통부 공항정책관]
"설치가 곤란한 경우에는 시설의 성능에 큰 영향을 주지 않는 범위 내에서 설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라고 하고 있고요. 예외 기준에 해당하는 공항들이 있습니다."
하지만 지난 5월, 한국공항공사가 무안공항의 종단안전구역이 권고기준을 지키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을 내놨습니다.
착륙대 끝 부분부터 240m 지점까지 안전구역을 설치해야 하는데 정방향인 1번 활주로는 202m, 이번에 사고가 난 19방향 활주로는 199m에 불과하다는 겁니다.
그러면서 종단안전구역 연장을 주문했습니다.
이럴 경우 로컬라이저도 뒤로 밀리게 됩니다.
무안공항은 2단계 확장 시 추가 확보를 검토하겠다고 답변했습니다.
국제민간항공기구인 ICAO의 안전구역 권고는 240m, 미국 연방항공청의 기준은 300m로 더 깁니다.
전문가들은 안전과 관련해 두 가지 규정이 있으면 더 엄격한 기준을 따라야 한다고 말합니다.
[김광일/신라대 항공운항학과 교수]
"원래 조건이 두 개가 있으면 더 유리한 거 적용합니다. 안전기준이 하나는 200m이고 하나는 220m이면 220m짜리 적용하도록 돼 있습니다. 항공은."
전문가들은 비행기가 대형화되는 추세에 맞춰 종단 안전 구역에 대한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고 지적합니다.
MBC뉴스 박소희입니다.
영상취재 : 이형빈 / 영상편집 : 김지윤 / 3D 디자인 : 이승연, 박지호
MBC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02-784-4000
▷ 이메일 mbcjebo@mbc.co.kr
▷ 카카오톡 @mbc제보
뉴스데스크
박소희
무안공항 '안전구역 미확보' 지적‥ "로컬라이저 위치도 가까워"
무안공항 '안전구역 미확보' 지적‥ "로컬라이저 위치도 가까워"
입력
2024-12-31 20:30
|
수정 2024-12-31 20:32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