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뉴스투데이
기자이미지 임경아

미 '낙태권 폐지'의 역설‥대선 쟁점되나?

미 '낙태권 폐지'의 역설‥대선 쟁점되나?
입력 2024-03-20 06:47 | 수정 2024-03-20 06:48
재생목록
    ◀ 앵커 ▶

    2022년 미국은 연방차원에서 낙태권을 폐지했는데, 이후 오히려 낙태 건수는 더 늘어나 10여 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는 조사가 나왔습니다.

    이런 가운데 바이든 대통령이 낙태권을 보장했던 과거 판례 복구를 약속하면서 이번 대선에서도 주요 쟁점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뉴욕에서 임경아 기자입니다.

    ◀ 리포트 ▶

    낙태권 옹호 단체인 미국 구트마허 연구소가 지난 한 해 동안 미국에서 102만 6천여 건의 낙태가 이뤄졌다는 조사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연간 낙태 건수가 1백만 건을 넘어선 건 2012년 이후 처음으로, 미국 가임기 여성 1천 명 중 15.7명꼴로 낙태를 선택했다는 의미가 됩니다.

    미국 연방대법원이 여성의 낙태를 헌법상 권리로 인정한 '로 대 웨이드' 판례를 폐기하기 전인, 2020년과 비교했을 때 10%가량 더 늘어난 수치입니다.

    낙태를 금지한 보수 성향 14개 주를 제외한 나머지 주만 놓고 보면 낙태 건수가 25% 이상 늘어난 셈이 된다고 보고서는 분석했습니다.

    실제 낙태 시술을 엄격히 금지하는 위스콘신, 인디애나, 텍사스 등과 붙어 있는 지역에서 낙태 시술은 크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사라 트랙슬러 / 북중부 주 최고의료책임자]
    "우리는 우리 주 바깥에서 여기로 오는 환자들이 거의 100% 증가하는 것을 봤습니다."

    특히 지난해 시행된 낙태 10건 중 6건은 경구용 낙태약을 이용한 것으로 추산돼, 먹는 낙태약 보급도 큰 영향을 준 것으로 분석됩니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로 대 웨이드' 판례 복구를 약속하며 낙태 문제를 대선 쟁점화하는데 공을 들이고 있습니다.

    [조 바이든 / 미국 대통령]
    "여러분은 '생식의 자유'를 지지하는 민주당 의회를 만들어 줬습니다. 약속합니다. '로 대 웨이드' 판결을 법률로서 복구할 것을 약속합니다."

    아직 트럼프 전 대통령은 낙태에 반대한다는 기조만 밝혔을 뿐, 구체적인 공약은 내놓지 않고 있어 이번 대선에 낙태 문제가 어떤 변수가 될지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

    뉴욕에서 MBC 뉴스 임경아입니다.

    MBC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02-784-4000
    ▷ 이메일 mbcjebo@mbc.co.kr
    ▷ 카카오톡 @mbc제보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인기 키워드

        취재플러스

              14F

                엠빅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