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뉴스투데이
기자이미지 김민형

'총선용' 위성정당 '소멸'‥여야 서로 "네 탓"

'총선용' 위성정당 '소멸'‥여야 서로 "네 탓"
입력 2024-04-23 07:30 | 수정 2024-04-23 07:31
재생목록
    ◀ 앵커 ▶

    여야의 위성정당이 해산과 함께 흡수합당 절차에 들어갔습니다.

    '세금도둑 공범', '국고보조금 사기'라는 비판 속에 4년 만에 또 만들어졌다가 사라졌는데요.

    여야는 서로를 탓하기 바빴습니다.

    김민형 기자입니다.

    ◀ 리포트 ▶

    국민의힘은 최종 의결 기구인 전국위원회를 열어 국민의미래와의 통합을 확정했습니다.

    더불어민주연합도 민주당으로의 합당을 만장일치로 결정했습니다.

    국민의힘은 비례대표 18석을 더해 108석이 됐고, 민주당도 최소 8명을 추가해 169석을 확보했습니다.

    시민사회 몫 당선인 2명도 민주당 합류에 무게를 두는 것으로 전해졌고, 진보당(2)·기본소득당(1)·사회민주당(1) 출신은 본래 정당으로 되돌아갑니다.

    의석 수가 5석 이상인 정당은 선관위에서 우선적으로 선거보조금을 받는데 두 위성 정당은 선거 전 민주당과 국민의힘에서 의원을 빌려 와서 28억 원의 보조금을 챙겼습니다.

    [김민정/녹색정의당 대변인 (지난 18일)]
    "명백한 세금도둑 공범입니다."

    [조응천/개혁신당 최고위원 (지난 19일)]
    "이 정도면 전형적인 국고보조금 사기라고 할 것입니다."

    국민의힘은 "준연동형 비례대표제가 아니었다면 원래 국민의힘이 받았을 보조금"이라고 했고, 더불어민주연합은 "보조금 액수보다 선거 활동에 쓴 빚이 더 많다"고 했습니다.

    그러면서 위성정당 창당의 책임을 서로에게 떠넘겼습니다.

    [윤재옥/국민의힘 원내대표 (당 대표 권한대행)]
    "기형적인 선거제도 하에서 국민의 선택권과 민주주의를 지키기 위해 불가피한 선택으로 만들어진 정당입니다."

    [윤영덕/더불어민주연합 공동대표]
    "국민의힘이 위성정당을 창당하는 그런 결정을 한 상황에서는 그것에 맞설 수 있는 불가피한 선택이 이뤄질 수밖에 없었고."

    '코인 논란'으로 민주당을 탈당한 뒤 위성정당으로 갔던 김남국 의원도 자연스레 다시 민주당에 돌아가게 됐습니다.

    MBC뉴스 김민형입니다.

    MBC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02-784-4000
    ▷ 이메일 mbcjebo@mbc.co.kr
    ▷ 카카오톡 @mbc제보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인기 키워드

        취재플러스

              14F

                엠빅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