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뉴스투데이
기자이미지 허지희

토종 물고기를 닥치는 대로‥호수 점령한 '외래 어종'

토종 물고기를 닥치는 대로‥호수 점령한 '외래 어종'
입력 2024-05-13 07:35 | 수정 2024-05-13 07:35
재생목록
    ◀ 앵커 ▶

    토종물고기와 알을 닥치는 대로 잡아먹는 외래 어종들이 우리 호수를 점령하고 있습니다.

    너무 많이 잡히다 보니, 보관할 곳이 없어서 음식물 쓰레기로 처리하고 있다고 합니다.

    허지희 기자입니다.

    ◀ 리포트 ▶

    충주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시설.

    뭔가를 가득 실은 트럭이 줄지어 서 있습니다.

    트럭은 계측장을 거쳐 처리장에 들어섭니다.

    얼어 있는 생선입니다.

    [박병조/어민]
    "거의 다 블루길만 한 차 싣고 왔네요. 그냥. 떼거지로 다니니깐 한번 들어오면 몇 백kg씩 들어온다고 이게."

    뱀장어, 붕어 같은 토종 치어와 알을 닥치는 대로 잡아먹는 유해 어종입니다.

    지난 넉 달 동안 충주호에서 잡아 얼린 건데 모인 양만 4.5톤가량입니다.

    잡히는 양은 너무 많은데 찾는 사람은 없고 보관할 곳이 적다 보니 쓰레기로 처리해 가스라도 생산하는 겁니다.

    [김선태/충북 충주시 축수산과 주무관]
    "토종 어류의 생태계를 완전히 교란시켜서 일반 어업인 소득에 매우 막대한 지장을 끼치고 있기 때문에 본 사업이 시작된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실제로 얼마나 잡히는 걸까?

    어업에 동행했습니다.

    전날 던진 그물을 걷어올렸더니 대부분 걸려 있는 건 누치와 블루길입니다.

    다른 그물은 전체가 블루길로 뒤덮였습니다.

    한번 그물을 던지면 70%가 유해어종 차지라고 합니다.

    유해어종의 횡포는 최상위 포식자 강준치의 활동이 왕성해지면 더 심각해집니다.

    특히 금어 기간이 지나고 나면 하루에도 수십 KG씩 잡혀 어민들의 생활을 더욱 힘들게 하고 있습니다.

    [유지한/충주자율관리어업공동체 사무장]
    "어구를 망쳐요 이게. 원체 많이 걸리니까 그렇다고 일일이 다 뺄 수 없는 거거든. 그물도 찢어지고 그러니깐 어구 손실도 많지."

    이런 유해어종을 잡아 일부에선 식용이나 비료로도 개발하고 있지만 잡히는 만큼 소비가 안 되는 게 현실입니다.

    [심기환/충주자율관리어업공동체 회장]
    "일반인들은 외래어종인 관계로 못 먹는 고기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이것을 음식 레시피를 개발해서…"

    올해는 15톤을 수매 처리하기로 한 충주시는 벌써 전체 예산의 1/3를 쓴 상태입니다.

    생태계 안정을 위해 해마다 토종 치어를 방류하고도 있지만 이미 우리 내수면을 잠식해버린 유해어종.

    누구도 찾지 않는 쓰레기 신세가 됐습니다.

    MBC뉴스 허지희입니다.

    MBC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02-784-4000
    ▷ 이메일 mbcjebo@mbc.co.kr
    ▷ 카카오톡 @mbc제보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인기 키워드

        취재플러스

              14F

                엠빅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