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커 ▶
정부가 해외직구 규제를 발표했다가 거센 반발에 사흘 만에 정책을 철회했죠.
하지만, 안전성을 확인할 실효성 있는 대책이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여전합니다.
정혜인 기자입니다.
◀ 리포트 ▶
경기도 안양에서 차량 정비소를 운영하는 오성진 씨.
엔진이나 변속기에 들어가는 부품을 주로 '해외 직구'로 구매합니다.
같은 성능의 국내 부품보다 훨씬 저렴하기 때문입니다.
[오성진/차량 정비소 운영자]
"미국 차나 일본 차 같은 경우에는 오히려 직구해서 가지고 오는 게 배송비 포함해서도 국내에서 구하는 것보다 거의 3분의 1 가격으로 구할 수 있어요."
육아용품이나 장신구, 전자제품 등 개인 물품에 그치는 게 아니라 제조업이나 연구실, 자영업 현장에서도 '직구'는 일상이 됐습니다.
최근 15년간 전자상거래를 통한 수입은 50배 넘게 늘었고, 지난해 온라인 해외 직구액은 처음으로 6조 원을 넘어 7조 원에 육박했습니다.
광범위하게 KC 인증을 의무화하려던 정부 방침에 여론이 강하게 들끓은 이유입니다.
다만, 안전성을 어떻게 확보할지는 또 다른 숙제입니다.
국내 전자상거래의 경우 판매자의 주소와 전화번호까지 자세히 공개돼 있지만, 중국계 플랫폼인 '알리'나 '테무'의 경우, 브랜드 이름과 원산지 정도만 노출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정지연/한국소비자연맹 사무총장]
"거래가 많고 어쨌든 약간 특수한 성격을 갖고 있는 중국 플랫폼에 대한 부분들은 좀 별도의 안전한 그런 인증이라든지 이런 부분들을 포함해서‥"
정부는 위험 우려가 있는 직구 제품을 각 소관 부처별로 선별 구매해서 검사하는 방안을 추진하겠다고 밝혔습니다.
MBC뉴스 정혜인입니다.
MBC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02-784-4000
▷ 이메일 mbcjebo@mbc.co.kr
▷ 카카오톡 @mbc제보
뉴스투데이
정혜인
해외구매 없인 '일상' 어려워‥정부만 몰랐던 직구
해외구매 없인 '일상' 어려워‥정부만 몰랐던 직구
입력
2024-05-22 07:28
|
수정 2024-05-22 09:36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