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뉴스투데이
기자이미지 박소희

위기감에 환영하지만‥"직접·적극 지원해야"

위기감에 환영하지만‥"직접·적극 지원해야"
입력 2024-05-24 07:11 | 수정 2024-05-24 07:12
재생목록
    ◀ 앵커 ▶

    정부의 이번 대책은 '글로벌 반도체 경쟁'에서 뒤쳐질 수 없다는 위기감에서 나온 것으로 보입니다.

    반도체 업계는 일단 환영한다는 입장을 내놨습니다.

    박소희 기자입니다.

    ◀ 리포트 ▶

    삼성전자는 최근 반도체 부문 수장을 전격 교체했습니다.

    위기감 때문입니다.

    고대역폭메모리 시장에서 후발주자로 전락했고, 지난해 반도체 부문 적자는 15조 원에 달했습니다.

    이직률은 대만 TSMC와 비교해 2배에 달할 정도로 심각합니다.

    정부의 지원책에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일제히 환영한다는 입장을 내놨습니다.

    블룸버그 통신은 미국과 EU, 일본, 중국, 인도 등이 지금까지 투입한 반도체 보조금 규모가 110조 원에 이른다고 추산했습니다.

    이들 국가는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등 한국 반도체 기업들에게도 보조금을 내세워 자국에 생산기지를 짓도록 유도하고 있습니다.

    이번 정부 대책은 반도체 기업들을 국내 생산기지에 눌러 앉히기 위한 수단입니다.

    다만, 직접적인 보조금을 주는 대신 자금 대출로 방향을 잡았습니다.

    반도체 업체들은 한계가 있는 정책이라고 말합니다.

    [황철주/주성엔지니어링 회장]
    "R&D에 대한 전폭적인 지원이 있어야 되고 세계 최초 기술을, 혁신 기술을 개발했다라고 하면 자동차 보조금 주는 것처럼 반도체 장비도 보조금을 줘야 된다라고 생각해요."

    특히 정작 지원이 절실한 '소부장', 소재·부품·장비 회사에 대한 지원책은 명확하지 않다는 지적도 있습니다.

    불붙은 '반도체 패권 경쟁'에서 정부 대책이 얼마나 효과를 거둘지 주목됩니다.

    MBC뉴스 박소희입니다.

    MBC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02-784-4000
    ▷ 이메일 mbcjebo@mbc.co.kr
    ▷ 카카오톡 @mbc제보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인기 키워드

        취재플러스

              14F

                엠빅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