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뉴스투데이

[오늘 아침 신문] 4050 뽑는 기업들 '베테랑 신참' 시대

[오늘 아침 신문] 4050 뽑는 기업들 '베테랑 신참' 시대
입력 2024-06-03 06:36 | 수정 2024-06-03 06:36
재생목록
    ◀ 앵커 ▶

    '오늘 아침 신문' 시작합니다.

    ◀ 앵커 ▶

    채용 시장에서 중장년층이 주목받고 있다는 기사 먼저 보겠습니다.

    ◀ 앵커 ▶

    중앙일보입니다.

    ◀ 앵커 ▶

    저출생과 고령화의 영향으로 한국의 생산가능인구는 지난해 3600여만 명에서 2044년 2700여만 명으로 떨어질 것으로 예상되고 있는데요.

    이에 따라 전체 인구의 40.5%를 차지하는 중장년층이 채용 시장에서 대접받고 있습니다.

    중장년층은 업무적 숙련도나 경험·지혜 측면에서 양질의 노동력을 제공할 수 있고, 무엇보다 '이직 가능성'이 낮다는 판단에서입니다.

    이에 따라 생활 환경 위생 기업인 세스코에서는 지난 4월 채용 대상 연령을 40~59세로 제한해 채용설명회를 열었고요.

    SK에코플랜트와 KT는 50대 이상 직원이 각각 27%와 60%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중소기업 가운데 76.5%는 중장년층을 채용할 의사가 있다고 밝혔는데요.

    전문가들은 이런 추세를 확산하기 위해서는 중장년층 채용이 왜 이득인지 민간 기업에게 논리적으로 설득하는 과정이 필요하다고 조언했습니다.

    ◀ 앵커 ▶

    다음은 조선일보입니다.

    작년 국내 5대 은행의 평균 연봉이 1억 1천만 원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2021년 처음 1억 원을 넘긴 뒤 2년 만에 우리나라 기업 상용근로자 평균 연봉의 2.2배에 달하는 1억 1265만 원을 기록한 건데요.

    또 고연봉자나 저성과자를 내보내기 위해 '조기 희망퇴직 제도'를 시행하면서, 평균 희망퇴직금도 3억 6천여만 원으로 2년 전에 비해 1.74% 늘었습니다.

    고금리가 길어지면서 은행들이 '이자 장사'로 연봉과 퇴직금 잔치를 벌인다는 비판이 나오고 있는데요.

    이에 반해 사회 공헌 비율은 크게 늘지 않아, 은행권 당기순이익 대비 공헌 비율은 7.0~7.1%로 큰 차이는 없었다고 신문은 전했습니다.

    ◀ 앵커 ▶

    이어서 동아일보입니다.

    최근 출소한 성범죄자들의 재범률이 증가하면서 성범죄자 거주지 일대 주민들의 반발이 커지고 있습니다.

    지난달 이른바 '수원 발바리'로 알려진 연쇄 성폭행범 박병화가 경기도 수원시의 한 오피스텔에 입주하자, 이웃 여성들이 이사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고 합니다.

    지난해 신상공개 성범죄자의 재범 사례는 4년 새 27.9% 늘어난 1417건으로, 하루 약 4건꼴로 발생하고 있는데요.

    특히 성착취물이나 딥페이크 등 디지털 성범죄로 재범한 사례가 5년 전에 비해 68.5%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에 따라 성범죄자의 거주지를 제한하는 '한국형 제시카법' 도입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고 신문은 전했습니다.

    ◀ 앵커 ▶

    다음은 한겨레 신문입니다.

    4년 전 코로나19 대유행 당시 집합 금지나 동선 공개 등 개인의 삶에 대한 국가의 개입이 컸는데요.

    시민들이 정부의 방역 정책이 기본권을 침해했다며 헌법소원을 냈지만, 헌재는 대부분이 국가의 손을 들어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헌법재판소 결정문 26건 중 인용된 청구는 단 3건으로, 6건은 기각됐고 17건은 절차 미비 등의 이유로 각하됐는데요.

    특히 집합 금지 명령에 따른 영업손실에 대해 자영업자들은 재산권과 평등권이 침해됐다고 주장했지만, 헌재는 '사회 구성원 모두가 코로나 확산 방지를 위한 조치의 부담을 나누어 질 필요가 있다'며 기각했습니다.

    반면, 2020년 제10회 변호사시험 당시 코로나19 확진자의 응시를 금지한다는 공고에 대해서는 국가가 무성의했다고 판단했고요.

    긴급재난지원금을 받지 못한 난민인정자도 평등권을 침해당했다고 판정했다고 신문은 전했습니다.

    ◀ 앵커 ▶

    끝으로 지역신문 기사 살펴보겠습니다.

    경상일보입니다.

    울산 태화강 국가정원 앞 먹거리 단지가 관광지로 급부상하면서 젠트리피케이션에 따른 상권 쇠퇴 우려가 커지고 있는데요.

    10년 새 임대료가 2배까지 치솟으면서, 가게를 이전하거나 장사를 접는 일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이미 먹거리 단지 음식점 10곳 중 3~4곳은 프랜차이즈 점포가 차지하고 있고, 젊은 사장들은 뒷골목의 소규모 상가로 밀려나고 있습니다.

    지역 상권 활성화를 위해서는 특색 있는 먹거리 단지 조성 지원에 힘써야 한다고 신문은 지적했습니다.

    지금까지 '오늘 아침 신문'이었습니다.

    MBC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02-784-4000
    ▷ 이메일 mbcjebo@mbc.co.kr
    ▷ 카카오톡 @mbc제보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인기 키워드

        취재플러스

              14F

                엠빅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