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뉴스투데이
기자이미지 이문현

어떻게 인권위원 됐나‥막말·폭언·기행 이력까지

어떻게 인권위원 됐나‥막말·폭언·기행 이력까지
입력 2024-06-18 07:31 | 수정 2024-06-18 13:47
재생목록
    ◀ 앵커 ▶

    국가인권위원회 김용원 상임위원은 최근 인권 단체와 기자들을 향한 막말 논란이 불거졌는데요.

    과거 검사 시절엔 여성 접객원이 있는 술집에서 술을 마시다 경찰과 시비를 벌이기도 했습니다.

    이문현 기자입니다.

    ◀ 리포트 ▶

    술집에 경찰과 취재진이 들이닥치자, 남성 손님들과 여성 접객원들이 황급히 고개를 숙입니다.

    지난 1990년 밀실 영업 단속에 나선 경찰과 동행 취재에 나선 KBS 취재진에 포착된 손님은 검사들이었습니다.

    당시 검사들은 경찰 신분증부터 내놓으라고 요구하다 시비가 붙었는데, 부산 지검 김용원 검사도 일행 중 한 명이었습니다.

    당시 김 검사는 이 사건으로 검찰총장에게 경고를 받았습니다.

    하지만, 김 검사는 2년 뒤 변호사로 개업해 책을 내면서 당시 상황을 "괴한들이 쳐들어와 무비카메라로 찍어대기 시작했다"며 경찰과 취재진을 "범죄자"로 규정했습니다.

    당시 김용원 검사가 현재 국가인권위원회 상임위원입니다.

    김용원 인권위 상임위원은 지난 1999년엔 한일 어업협상이 실패했다며 당시 해수부 장관에게 65cm짜리 일본도를 보내며 할복을 권유하는 편지를 쓰기도 했습니다.

    김용원 상임위원은 지난해 2월 인권위 후보추천위원회를 거쳐 대통령이 최종 임명했습니다.

    추천위 측은 김 상임위원의 이 같은 이력을 살피지 못했다고 밝혔습니다.

    [인권위 후보추천위원회 위원 (음성변조)]
    "후보 측 자소서 내용을 바탕으로 (검증)을 하고. 전혀 얘기하지 않았고. 좋은 일 한 것들만 써놨죠."

    김용원 상임위원은 최근에도 인권위 회의를 방청하러 온 기자와 인권단체에 "기레기가 쓰레기 기사를 쓴다" "인권 장사치가 회의 내용을 왜곡한다"고 말해 논란을 일으켰습니다.

    지난 3월엔 유엔에 제출한 보고서를 심의하면서 "일본군 성노예제 문제를 다 알고 있는데 자꾸 꺼내서 얻고자 하는 게 무엇이냐"고 발언해 여성단체의 비판이 쏟아졌습니다.

    [명숙/인권운동네트워크 바람 활동가]
    "기본적인 윤리 태도 이런 게 없는 사람인데, 과연 인권에 대해서 어떻게 얘기할 수 있을까 매우 우려된다는 생각이 들었고요."

    김 상임위원은 이 같은 논란에 대해 "술집에서 여성 접대원들이 몇 명 앉아 술 시중드는 게 무슨 단속 대상이냐"며 "술집 사건 이후 수사 잘했다고 해외 연수도 하고, 다음해에 승진도 했다"고 밝혔습니다.

    인권 장사치 발언 등 자질 논란에 대해서는 "비단결 같은 소리, 위선적인 소리만 하는 게 인권위원으로서의 자질이냐"고 되물었습니다.

    인권단체 58곳은 공동성명을 내고 김용원 상임위원의 인권침해를 국제인권기구에 알리겠다며 김 위원의 사퇴를 촉구했습니다.

    MBC뉴스 이문현입니다.

    MBC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02-784-4000
    ▷ 이메일 mbcjebo@mbc.co.kr
    ▷ 카카오톡 @mbc제보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인기 키워드

        취재플러스

              14F

                엠빅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