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뉴스투데이
기자이미지 유서영

소아과 곳곳 헛걸음‥맘카페 '휴진 리스트' 공유

소아과 곳곳 헛걸음‥맘카페 '휴진 리스트' 공유
입력 2024-06-19 06:10 | 수정 2024-06-19 06:12
재생목록
    ◀ 앵커 ▶

    4년 만의 의료계 집단휴진이 현실화하고 있는데요.

    일부 동네 병원까지 문을 닫으면서 환자들이 적지 않은 불편을 겪었고, 불만의 목소리가 곳곳에서 터져 나왔습니다.

    유서영 기자입니다.

    ◀ 리포트 ▶

    서울 서대문구의 한 소아청소년과 의원.

    굳게 닫힌 철제 차단문에, 휴진 안내 게시물이 나붙었습니다.

    근처 다른 소아과도 마찬가지.

    '개인 사정', '원장님 학회' 등 병원마다 휴진 사유도 제각각인데, 별다른 이유를 내걸지 않은 곳도 적지 않았습니다.

    산부인과 병원 휴진 안내문엔 '응급 산모는 벨을 눌러달라'는 문구도 있었습니다.

    피해는 환자와 가족들의 몫입니다.

    [권미선 / 서울 서대문구]
    "(아이가) 갑자기 열이 나서, 왜 어떤 증상 때문에 그러는지 확인하러… (원래) 다니던 병원이 오늘 급히 휴진을 한다는 공지를 봐서…"

    내 집 앞 병원 문이 언제 또다시 닫힐지 몰라, 불안감은 좀처럼 사라지지 않습니다.

    [서울 서대문구]
    "그게 제일 문제일 것 같아요. 너무 한쪽(병원)에 몰려서 많이 기다려야 되니까, 아기가 아픈데…"

    지자체가 운영하는 충남의 홍성의료원.

    가뜩이나 많지도 않은 병의원들이 서울 집회에 참가한다며 문을 닫아, 인근 지역에서도 환자들이 몰렸습니다.

    [손명학 / 충남 예산군]
    "아기가 갑자기 아파서… 내포(신도시) 지역에 거주를 하는데, 원래는 그쪽 소아과를 다니다가 세 군데 모두 다 휴진을 했더라고요. 공공의료원은 (진료를) 할까 싶어서…"

    이른바 '맘카페' 등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온종일 각 지역별 주민들이 휴진한 병의원들의 명단을 공유하며 대비하기도 했습니다.

    전국 3만 6천여 병원 중 미리 휴진을 신고한 곳은 약 4%.

    신고 없이 오전 진료만 본 뒤 오후에 문 닫은 곳을 포함하면, 실제 휴진 규모는 이를 웃돌았습니다.

    의협은 자체 집계한 전국 휴진율이 50%라고 주장했습니다.

    반면 정부는 휴진율이 30%에 미치지 못한 걸로 파악하고 있습니다.

    MBC뉴스 유서영입니다.

    MBC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02-784-4000
    ▷ 이메일 mbcjebo@mbc.co.kr
    ▷ 카카오톡 @mbc제보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인기 키워드

        취재플러스

              14F

                엠빅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