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뉴스투데이
기자이미지 조희형

또 '선' 넘은 북한군‥지뢰 묻고 방벽 쌓고, 왜?

또 '선' 넘은 북한군‥지뢰 묻고 방벽 쌓고, 왜?
입력 2024-06-19 06:45 | 수정 2024-06-19 06:46
재생목록
    ◀ 앵커 ▶

    어제 수십 명의 북한군이 군사분계선을 넘어왔다가 군의 경고 방송과 경고 사격에 곧바로 물러났습니다.

    지난 9일에도 비슷한 일이 있었는데요.

    이유를 조희형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 리포트 ▶

    30명에 달하는 북한군이 중부 전선 군사분계선 아래 20m 지점까지 남하했습니다.

    이들은 경고 방송과 경고 사격에 곧바로 돌아갔습니다.

    지난 9일에도 비슷한 일이 있었습니다.

    합참은 "수풀이 우거진 곳이어서 경계가 명확히 보이지 않고, 북한군이 경고 방송과 경고사격에 곧바로 돌아갔다"며 단순 침범으로 판단했습니다.

    최근 군사분계선 주변에서는 삽과 곡괭이를 든 북한군이 부쩍 눈에 띄고 있습니다.

    이들은 지난 4월부터 북쪽 비무장지대 안에서 지뢰매설 등 작업을 벌여왔습니다.

    우리 군이 식별한 곳만 10여 곳입니다.

    지뢰매설을 하다 폭발이 잇따라 북한군 피해가 상당했지만, 작업은 계속되고 있습니다.

    남북을 잇던 철로가 끊어진 곳에는 4~5미터 높이의 대전차 방벽이 세워졌습니다.

    군사분계선 북쪽 2km 지점, 북방한계선 4곳에서 발견된 방벽은 수십 미터에서 길게는 수백 미터에 달합니다.

    [이성준/합동참모본부 공보실장]
    "북한군은 전선지역 일대에서 불모지 조성, 지뢰 매설, 전술도로 보강, 대전차 방벽으로 보이는 미상 구조물 설치 등 다양한 형태의 작업을…"

    "남북을 적대적 두 국가"로 규정한 김정은 위원장이 지난 1월 "모든 남북 연계 조건을 분리시키라"는 지시를 내린 이후 이런 움직임은 활발해졌습니다.

    화살머리고지 인근 전술도로에 이어 남북을 연결하는 동해선, 경의선 철로 일대에 지뢰를 심기 시작했습니다.

    [김동엽/북한대학원대학교 교수]
    "가장 핵심적인 것은 사실 명확한 국경선 이야기를 하고 있거든요. 남과 북의 어떤 확실한 물리적 분리 조치를 보여준다는 차원에서…"

    이런 움직임 속에 북한군의 군사분계선 침범은 반복되고 있습니다.

    합참 관계자는 북한군의 DMZ 내 작업들이 정전협정에 위반되는지 여부를 유엔사와 긴밀히 협의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MBC뉴스 조희형입니다.

    MBC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02-784-4000
    ▷ 이메일 mbcjebo@mbc.co.kr
    ▷ 카카오톡 @mbc제보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인기 키워드

        취재플러스

              14F

                엠빅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