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뉴스투데이
기자이미지 윤수한

26학년도 의대 정원 재논의?‥우회로 열리나

26학년도 의대 정원 재논의?‥우회로 열리나
입력 2024-06-21 06:49 | 수정 2024-06-21 06:49
재생목록
    ◀ 앵커 ▶

    정부가 의료계와 넉 달 넘게 대립하는 상황에서 처음으로, 의대증원 재논의 가능성을 내비쳤습니다.

    장래에 필요한 의사 수를 결정하는 사회적 합의 절차와 기구를 만들겠다고 했는데, 내후년 입시에 대해 여지를 남겼습니다.

    윤수한 기자입니다.

    ◀ 리포트 ▶

    '매년 2천 명 의대 증원' 방침을 놓고, 정부는 "충분한 논의의 결과"라고 하지만 의료계는 "비과학적 결정"이라고 맞섭니다.

    양측은 이 간극을 좁히지 못한 채 넉 달 넘게 평행선을 달리고 있습니다.

    어제 네번째 회의를 연 대통령 직속 의료개혁특별위원회는 체계적인 논의의 틀을 만들어 의사 수급 규모를 결정하기로 했습니다.

    [노연홍 / 의료개혁특별위원장]
    "(의료) 인력 수급 정책의 합리성과 사회적 신뢰성을 높여야 한다는 합의를 이루었습니다."

    각계 전문가로 꾸려진 위원회가 미래에 필요한 의사 수를 도출해내면, 각 직역 대표들의 자문을 들어 결정을 내리는 구조입니다.

    정부는 그러나, 당장 '2천 명 증원' 계획에 손을 대는 건 아니라고 선을 그었습니다.

    다만 내후년도 입시의 경우, 증원 규모를 다시 논의할 수 있다는 여지를 남겼습니다.

    [정경실 / 보건복지부 의료개혁추진단장]
    "2026년 의대 정원에 반영될 수 있느냐..의협 등의 의료계가 참여하셔서 논의하는 구조가 만들어져야 이다음 스텝(절차)이 진행될 수가 있고요."

    의료계를 대화의 장으로 끌어내려는 전향적 태도 변화로 읽혀 주목됩니다.

    의사협회는 "환영하고 반갑다"면서도, 내년도 의대 정원부터 논의에 포함돼야 한다는 입장을 고수했습니다.

    하지만 공정위 조사와 경찰 수사 등 전방위 압박 속에, 의료계의 강경 기조에도 균열이 감지됩니다.

    범의료계가 참여하는 새 특별위원회를 출범시킨 의협은 당초 오는 27일로 예고했던 '무기한 휴진' 계획도 재검토하기로 했습니다.

    닷새째 진료 거부 중인 서울대병원 교수들도 휴진 중단 여부를 두고 투표에 들어갔습니다.

    MBC 뉴스 윤수한입니다.

    MBC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02-784-4000
    ▷ 이메일 mbcjebo@mbc.co.kr
    ▷ 카카오톡 @mbc제보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인기 키워드

        취재플러스

              14F

                엠빅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