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뉴스투데이
기자이미지 박진주

"산지 가격 떨어지는데 체감 안 돼"‥왜?

"산지 가격 떨어지는데 체감 안 돼"‥왜?
입력 2024-06-21 07:32 | 수정 2024-06-21 07:33
재생목록
    ◀ 앵커 ▶

    애초에 한우가격이 비싼 이유는 농산물과 다르게, 도축 같은 여러 가공작업과 유통을 거치기 때문이라고 하는데요.

    산지 가격이 떨어지는데도 최종 가격은 그대로인 이유, 박진주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 리포트 ▶

    서울의 한 고깃집입니다.

    한우 채끝 등심 150g 1인분 가격이 4만 6천 원, 100g에 3만 원꼴입니다.

    음식점에선 산지 가격이 내려갔다는 게 와 닿지 않습니다.

    [장익순/음식점주]
    "저희는 마장동 도매 시장에서 고기를 떼오는데요. 별 가격 변화는 못 느끼고 있습니다."

    대형마트에선 한우 등심 100g의 가격은 14,980원입니다.

    등급에 따라 다르지만 대체로 음식점 가격의 절반 수준입니다.

    지난 4월 말 기준, 한우 등심 도매가격은 6개월 전보다 20% 넘게 하락했지만 소비자가는 5% 하락하는 데 그쳤습니다.

    산지와 식탁 위의 한우 값 차이는 유통구조에서 비롯됩니다.

    농가가 소를 팔면 우시장을 거친 뒤 도축, 가공되고, 경매를 거쳐 식당이나 정육점을 통해 소비자에게 전달됩니다.

    농가에서 537만 원에 판 한우의 경우, 도축을 거쳐 경매시장에서 한우 등심은 1킬로그램에 1만 3,694원, 100그램당 1천3백 원에 거래됩니다.

    이후 부위별로 작게 포장해서 도매가격은 100그램에 약 5천 원이 됩니다.

    이후 소매단계에서 8천8백 원까지 오른 뒤 마지막 마트나 음식점에 공급됩니다.

    가공업체와 유통업체를 거치면서 소비자가격이 40~50% 정도 인상되는 셈입니다.

    또 최종 판매가 이뤄지는 마트에선 매장 운영비와 인건비를 붙이고, 음식점에선 상차림 비용과 임대료 등을 더합니다.

    이 부대비용이 오른 탓도 큽니다.

    정부는 권장판매가를 제시해 민간 유통업체의 가격 인하를 유도하겠다고 밝혔습니다.

    MBC뉴스 박진주입니다.

    MBC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02-784-4000
    ▷ 이메일 mbcjebo@mbc.co.kr
    ▷ 카카오톡 @mbc제보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인기 키워드

        취재플러스

              14F

                엠빅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