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뉴스투데이
기자이미지 고병찬

참사 이틀 전에도 화재‥'조짐' 있었지만 덮어

참사 이틀 전에도 화재‥'조짐' 있었지만 덮어
입력 2024-06-26 07:29 | 수정 2024-06-26 07:29
재생목록
    ◀ 앵커 ▶

    이 공장에선 사고 이틀 전에도 불이 났었던 걸로 확인됐습니다.

    업체 측은 작은 불이어서 자체 진화 후에 신고를 하지 않았다고 시인했는데요.

    이때 조치 없이 넘어간 게 더 큰 화를 불러왔다는 비판이 나옵니다.

    고병찬 기자입니다.

    ◀ 리포트 ▶

    화재 현장을 찾은 유족들은 이미 참사의 전조가 있었다고 말했습니다.

    참사 발생 이전에 또 다른 화재가 있었다는 겁니다.

    [채성범/아리셀 사망 직원 유가족]
    "(딸이) 불났다고 말하더라고요. 불 나서 직원이 한해(한명) 소화기 들었는데 손에 화상을 입었다고…"

    해당 사실은 업체도 시인했습니다.

    불이 난 3동 바로 옆, 3동과 마찬가지로 배터리 제조 공정이 이뤄지는 2동에서 지난 22일 불이 났다는 겁니다.

    작업자가 불량을 알아채고 따로 빼둔 배터리에서 불이 났다는 게 아리셀 측 설명입니다.

    [박중언/아리셀 본부장]
    "22일 토요일 화재는 작업자가 전해액이라는 물질을 주입하는 공정에서 전해액을 주입한 이후에 배터리가 온도가 급상승하는 거를 스스로 알아채서…"

    당시엔 불이 크지 않아 직원이 소화기로 자체 진화했고 소방에 신고하진 않았다고 했습니다.

    또, 불량이 발생해 불까지 났음에도 포장, 검수 과정에 배터리를 차곡차곡 쌓아둔 것도 피해를 키운 원인이란 지적이 나옵니다.

    [공하성/우석대 소방방재학과 교수]
    "일부 제조 공정에서 문제가 발생됐을 때는 이미 제조한 배터리조차도 어떤 문제가 발생됐을 수 있기 때문에 충분히 재점검할 필요가 있다…"

    해당 공장은 면적기준으로 스프링클러 설치 의무 대상이 아니어서 열폭주 전이를 지연시킬 수 있는 스프링클러는 설치되지 않았던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MBC뉴스 고병찬입니다.

    MBC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02-784-4000
    ▷ 이메일 mbcjebo@mbc.co.kr
    ▷ 카카오톡 @mbc제보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인기 키워드

        취재플러스

              14F

                엠빅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