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뉴스투데이
기자이미지 이성일

[뉴스 속 경제] 계엄 이후 연준발 충격파‥환율 불안 언제까지?

[뉴스 속 경제] 계엄 이후 연준발 충격파‥환율 불안 언제까지?
입력 2024-12-23 07:42 | 수정 2024-12-23 07:59
재생목록
    ◀ 앵커 ▶

    원달러 환율이 1450원 선을 돌파했습니다.

    원인이 어디에 있고, 얼마나 지속될지, 이성일 기자와 짚어보겠습니다.

    비상계엄 사태 이후 금융시장 불안, 핵심이 외환시장이었는데, 드디어 지난주 후반에는 1달러에 1450원 선을 돌파했네요?

    ◀ 기자 ▶

    지난주 후반 원화 환율을 움직인 것은 미국 중앙은행이 내놓은 금리 전망이었습니다.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 의장은, 기준 금리를 0.25%p 인하한 직후 가진 기자회견에서 "금리 인하 과정이 새 국면에 접어들었다"고 말했는데, 연준위원 의견을 보면, 1년 뒤 금리를 지금보다 0.5%p 정도만 낮추겠다는 뜻이었습니다.

    그보다 큰 폭, 1%p를 내릴 것으로 기대했던 시장에 충격을 줘, 전 세계 주가 큰 폭으로 하락했습니다.

    다음날 우리 외환 시장에서도 1430원 선이던 원달러 환율 1450원 선을 단숨에 돌파했습니다.

    원화 가치가 그만큼 떨어졌다는 말인데, 1450원 선 글로벌 금융위기가 한창인 2009년 초반 이후 15년여 만에 처음 본 환율이었습니다.

    물론 이 충격, 우리만 받은 것은 아니라, 엔화, 유로화 등 전 세계 주요 통화가 달러화에 비교한 가격이 떨어졌습니다.

    하지만, 원화의 가치 하락이 상대적으로 컸고, 그만큼 악화된 심리를 반영했다고 해석할 수 있습니다.

    ◀ 앵커 ▶

    미국 연준이 금리 인하를 예상대로 했는데도, 충격이 컸네요? 이유가 뭐라고 봐야될까요?

    ◀ 기자 ▶

    미국과 금융시장이 계속된 금리 인하를 기대했기 때문에, 다른 나라들은 여러 면에서 거칠어진 미국의 움직임에 움츠러들었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특히 이번 결정에는 미국 물가가 다시 오를 가능성 말고도, 출범을 앞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2기 정책의 불확실성이 주요 배경으로 지목됩니다.

    트럼프 당선인이 공언한 전 세계 상대로 보편 관세를 부과하겠다는 정책은 수입품 물가를 올리고, 이민 제한 정책은 노동력 공급을 줄여 임금 인상을 불러올 가능성이 높습니다.

    여기에 새 정부에서 재정 적자가 늘어날 우려도 다시 한번 불거졌습니다.

    지난주 미국 정부 셧다운을 앞둔 '임시 예산안' 협상에서, 트럼프 당선인이 정부가 지는 빚의 규모에 제한을 없앨 것을 요구해 양당의 협상을 곤란하게 만들었습니다.

    결국 공화당 하원의원 38명이, 민주당 반대표에 가세해 요구가 실현되지 않았지만, 이에 따른 의구심이 부푼 상태입니다.

    ◀ 앵커 ▶

    달러에 비해 약세를 보이는 통화는 우리만이 아니죠?

    ◀ 기자 ▶

    달러 가치만 오르는 추세, 강한 미국 경제가 뒷받침을 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를 포함한 주요 국가 올해 성장률은 기껏 잠재성장률 수준이거나 그에 크게 못 미치지만, 미국은 이를 훌쩍 뛰어넘는 사실상 경기과열된 상태입니다.

    지난 금요일 일본 중앙은행이 예고했던 금리 인상 미뤘고, 중국도 경기 부양을 위한 돈 풀기를 예고하고 있습니다.

    엔, 위안 모두 환율이 더 하락할 가능성 있습니다.

    그런데, 특히 중국 위안화는 우리 원화 환율을 끌고 다니는 통화라, 원화 약세에 무게를 더하고 있습니다.

    ◀ 앵커 ▶

    원화 가치 떨어질 이유들이 많네요? 안심할 수 없는 거죠?

    ◀ 기자 ▶

    수출 관점에서만 보면 중국과 일본처럼, 경쟁국과 비슷한 환율 수준을 유지하는 것을 다행으로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해외 생산이 크게 늘어서 환율 효과가 예전 같지 않을 것이라는 분석이 있고, 최근 해외 투자를 늘린 대기업들에게 불어난 '달러로 표시된 부채'도 부담입니다.

    수입 물가가 오르는 것은 또 다른 차원의 걱정입니다.

    곧바로 물가를 자극할 수 있고, 안 그래도 부진한 내수 회복을 더디게 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입니다.

    올들어 3차례 급격한 원화 가치 하락 국면이 있었는데, 2차례는 우리가 손 쓸 수 없는 미국 쪽 원인을 탓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비상계엄 사태처럼 예측할 수 없는 불안이 새해에도 반복되거나, 혼란이 길어질 경우, 환율 불안이 경기 회복의 발목을 잡는 결정적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연말 들어 국내외에서 내년도 우리 성장률을 낮춰잡고 있는데, 과거 2번 탄핵 심사 국면에는 2004년 중국의 경기 호황, 2016년 반도체 산업 상승세라는 호재가 있었지만, 지금은 그때와 180도 다르다는 점, 앞으로 대응에서 유념해야 하겠습니다.

    MBC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02-784-4000
    ▷ 이메일 mbcjebo@mbc.co.kr
    ▷ 카카오톡 @mbc제보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인기 키워드

        취재플러스

              14F

                엠빅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