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커 ▶
한국 뮤지컬의 전설로 꼽히는 <명성황후>가 올해로 30주년을 맞았습니다.
창작 뮤지컬 최초로 누적 관객 220만 명을 기록하며 새역사를 써내려가고 있는데요.
극의 절정인 명성황후 시해 장면은, 광복 80년을 맞아 더 큰 울림을 자아냅니다.
문다영 기자의 보도입니다.
◀ 리포트 ▶
구한말, 대한제국의 왕비 명성황후.
"이 나라 제일의 사랑받는 여인이 되리라"
일본이 조선을 노리자 견제할 방법을 찾습니다.
"러시아를 믿으세요. 우리가 지켜보는 한 조선은 안전하리"
그러자 일본은 암살 계획을 세우고, 명성황후는 비극적 결말을 맞습니다.
"네 이놈들! 내가 조선의 왕비다!"
명성황후 시해사건을 다룬 뮤지컬 <명성황후>.
을미사변 100년인 1995년 초연을 올려 올해로 30년째, 한국 뮤지컬의 역사를 새로 쓰고 있습니다.
창작 뮤지컬 중 첫 브로드웨이 진출, 첫 1백만 관객 돌파, 누적 1천 회 공연, 그리고 최근 2백20만 관객 돌파까지.
비극의 역사를 완성도 높게 구성한 무대가 관객을 사로잡았습니다.
[김준한/관객]
"명성황후에 대해서는 우리나라 대한민국 국민이라면 모를 수가 없죠."
[박양신/관객]
"저는 30년 전에 한번 봤었고 이번 기회에 딸과 함께 보게 됐어요. 웅장함과 속이 뻥 뚫리는 느낌이었던 것 같아요."
30년이 흐르는 동안 배우 조승우 김소현 등 수많은 스타를 배출했고, 건반 연주자 김문정과 보컬 코치 박칼린은 한국을 대표하는 뮤지컬 음악감독으로 거듭났습니다.
초연에서 명성황후의 조력자로 연기를 시작했던 배우 신영숙은, 이제 명성황후의 최후를 노래합니다.
[신영숙/명성황후 역]
"정말 잊으면 안 되는 역사잖아요. 우리가 이 작품을 통해서 항상 명성황후를 또다시 기억하고 되뇌이고…"
명성황후 30년, 그리고 광복 80년.
제작사는 특히 명성황후의 마지막 당부에 집중해 달라고 했습니다.
"동녘 붉은해 동녘 붉은해. 스스로 지켜야 하리 조선이여, 무궁하라."
[윤흥선/뮤지컬 <명성황후> 프로듀서]
"이 공연을 보고 힘든 시기에 위로와 감동을 얻어가면 좋겠습니다…"
남의 도움이 아닌 스스로의 힘으로 조국을 지켜내라는 노래.
읽을때마다 새롭게 다가오는 고전처럼, 새로운 메아리로 퍼져 나갑니다.
MBC뉴스 문다영입니다.
영상취재: 강종수 / 영상편집: 허유빈 / 영상제공: 에이콤
MBC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02-784-4000
▷ 이메일 mbcjebo@mbc.co.kr
▷ 카카오톡 @mbc제보
뉴스데스크
문다영

"백성이여 일어나라" 뮤지컬 <명성황후>의 30년
"백성이여 일어나라" 뮤지컬 <명성황후>의 30년
입력
2025-02-09 20:45
|
수정 2025-02-09 22:28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