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뉴스데스크
기자이미지 김세로

"미국으로부터 아직 통보받은 것 없어"‥'민감국가 지정' 진짜 이유는?

"미국으로부터 아직 통보받은 것 없어"‥'민감국가 지정' 진짜 이유는?
입력 2025-03-18 20:24 | 수정 2025-03-18 22:32
재생목록
    ◀ 앵커 ▶

    미국이 한국을 교류협력을 제한하는 '민감국가'로 지정한 지 2달이 지났는데도 이 사실을 몰랐던 정부가, 어젯밤 급히 공지문자를 보냈습니다.

    미국 에너지부 산하 연구소의 보안 문제가 원인이 됐다는 설명이었는데, 그러면서도 미국 측의 정확한 설명을 들은 건 아니라는데요.

    이게 무슨 말인가 싶은 해명에 의문은 오히려 커지고 있습니다.

    김세로 기자입니다.

    ◀ 리포트 ▶

    한국이 민감국가로 분류된 것을 정부가 파악한 지 일주일만인 어젯밤.

    외교부는 문자 공지를 통해 에너지부 산하 연구소의 보안 관련 문제가 이유로 파악됐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나 보안 문제가 무엇인지, 동맹국을 민감국가로 만들만한 사안이었는지 등의 질문엔 답하지 않았습니다.

    [이재웅/외교부 대변인]
    "미 측이 취한 조치에 대해서 제가 이 자리에서 말씀드릴 사안이 없습니다."

    이 때문에 에너지부 산하 아이다호 연구소 계약업체 직원이 원자로 설계 소프트웨어를 가지고 한국으로 가려다 해고됐던 사실이 원인으로 거론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전문가들 사이에선 보안사고 한 건 때문에 동맹이 민감국가로 지정될 가능성은 낮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아이다호 연구소' 사건은 작은 일일 뿐 더 큰 사건이 있었던 것으로 추정한다는 외교소식통의 말도 나왔습니다.

    사소한 보안 문제라면 관련자 체포나 기관 내부점검으로도 충분하다는 것입니다.

    [이춘근/한국과학기술평가원 초빙전문위원]
    "한 건, 더구나 사소한 일로 한 개 나라를 우방국을 민감 국가로 지정한다는 것은 저는 있을 수 없는 일이라고 생각합니다. 다른 여러 가지 건이 드러나서, 어떤 흐름이 목격됐기 때문에 지정한 것이라고 생각해요."

    자체 핵을 보유할 수 있다는 2023년 윤석열 대통령의 발언 이후, 한국의 국책기관들이 모종의 움직임을 보였을 가능성도 제기됩니다.

    이후 정치권의 핵무장론 등 핵에 대한 한국 내 여론이 본격적으로 커졌다는 것입니다.

    [전봉근/한국핵정책학회장]
    "국내의 강한 핵무장 동기, 그리고 이에 대한 주요 정치인들의 발언, 그리고 일부 과학자들의 핵무기 개발 역량 보유 등이 있었습니다."

    미국으로부터 민감국가 지정에 대해 사전 경고조차 못 받은 정부는 아직까지도 어떤 공식 설명도 듣지 못했습니다.

    외교부는 미국과 접촉한 결과 에너지부 산하 연구소의 보안문제가 원인인 것은 파악했다고 밝혔습니다.

    MBC뉴스 김세로 입니다.

    영상취재: 송록필 / 영상편집: 박찬영

    MBC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02-784-4000
    ▷ 이메일 mbcjebo@mbc.co.kr
    ▷ 카카오톡 @mbc제보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인기 키워드

        취재플러스

              14F

                엠빅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