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커 ▶
이번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는 2미터 높이의 둔덕에 여객기가 충돌하며 피해가 커졌는데요.
이 활주로의 반대편에도 콘크리트 재질의 둔덕이 있었습니다.
활주로 연장 공사 과정에서 공사 업체들이 안전 문제를 제기해 이 둔덕을 없애기로 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장슬기 기자입니다.
◀ 리포트 ▶
사고기는 19번 활주로를 따라가다 2미터 높이의 둔덕에 부딪쳤습니다.
비행기 착륙을 돕는 '로컬라이저'를 고정시키는 구조물입니다.
정부는 그동안 활주로의 경사도를 고려해 둔덕을 세운 것으로 추정된다고 밝혔었습니다.
로컬라이저는 활주로 양 끝부분에 각각 설치돼 있습니다.
지반이 상대적으로 높은 반대편 1번 활주로 끝은 어떨까.
위성사진으로 보면 현재 1번 활주로 끝부분 일대는 바닥이 뜯겨 있습니다.
올해 완공을 목표로 연장공사가 진행 중이기 때문입니다.
이로 인해 로컬라이저도 철거가 됐습니다.
하지만 2008년부터 위성사진을 보면 철거되기 전 1번 활주로 방향으로 난 로컬라이저가 보입니다.
19번 활주로 끝에 있는 로컬라이저처럼 하얀 구조물 위에 서 있습니다.
해당 구조물은 1미터가 넘는 높이였습니다.
[무안공항 활주로 연장 공사 관계자 (음성변조)]
"(연장공사 전) 조사했을 때는 조금 올라와 있다고는 하는데 거기가 이제 상향 구배 지역이라 아래(19번 활주로)처럼 많이 올라와 있지는 않은 걸로 알고 있고요."
활주로 연장 공사에 참여한 업체들은 둔덕을 없앨 것을 건의했습니다.
비행기 안전을 고려한 겁니다.
결국 최종 설계에선 둔덕이 빠졌습니다.
[무안공항 활주로 연장 공사 관계자 (음성변조)]
"회의할 때도 그거(둔덕)는 그래서 없애야 된다고‥ (현재는) 표면에 평평하게 돼 있어요. (둔덕은) 진짜 이거 왜 이렇게 되는지 모르겠다고 그냥 생각이 돼요."
양쪽 모두 지난해 공사를 시작했는데 한쪽은 둔덕을 없앤 반면, 다른 한쪽은 둔덕을 보강하는 정반대의 선택을 한 겁니다.
공항공사가 지난해 진행된 무안공항 로컬라이저 개량공사에서 "부서지기 쉬운 소재를 사용하라"는 지침을 지키지 않았다는 지적에 대해 국토부는 "로컬라이저 장비 자체만 부서지기 쉽게 하라"는 취지였다고 설명했습니다.
MBC뉴스 장슬기입니다.
MBC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02-784-4000
▷ 이메일 mbcjebo@mbc.co.kr
▷ 카카오톡 @mbc제보
뉴스투데이
장슬기
2미터 '둔덕'‥활주로 반대편은 '철거 계획'
2미터 '둔덕'‥활주로 반대편은 '철거 계획'
입력
2025-01-03 06:48
|
수정 2025-01-03 06:49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