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5시 뉴스
기자이미지 손병산

[스트레이트] 반성없는 언론, 달라질 수 있나

[스트레이트] 반성없는 언론, 달라질 수 있나
입력 2021-11-21 21:02 | 수정 2021-11-21 21:02
재생목록
    ◀ 허일후 ▶

    클릭 수에 목을 메야만 하는 우리 언론의 서글픈 현실이기도 하네요

    ◀ 김효엽 ▶

    일단 살아남기 위해 어쩔 수 없이 24시간 조회수 경쟁을 펼친다..

    현실이 그렇다고해서, 이런 변명으로 독자의 신뢰를 붙들어 놓을 수는 없는 거 아니겠습니까?

    ◀ 손병산 ▶

    네, 기사형 광고와 온라인 커뮤니티 '복붙' 기사가 난무하는 상황을 당장 바꾸기는 어려울 겁니다.

    그래도 조금이라도 개선할 방법은 없는 건지 고민해봤습니다.

    ◀ 리포트 ▶

    한 경제지에 실린 '숙성 한우' 기사입니다.

    '바삭한 겉면을 한 입 베어 물자 육즙이 터져나왔다'는 묘사와 함께 '외식업계에선 숙성 한우가 최근 대세로 떠올랐다'고 설명합니다.

    일종의 '트렌드 정보'로도 볼 수 있겠지만, 댓글은 비판 일색입니다.

    '맛집 블로그'냐는 지적에, '뒷광고 아니냐'는 말까지 나옵니다.

    기사 중반에 뜬금없이 서울 청담동의 한 식당 이름이 등장하고, 식당 대표와 셰프의 이야기까지 실렸기 때문입니다.

    한 독자가 이 기사를 신문윤리위원회에 제보했는데, 신문윤리위 판단도 다르지 않았습니다.

    '정보 제공 수준을 넘어 영리적 목적에 영합하기 위한 상업적 보도라는 의심을 하기에 충분하다'고 봤습니다.

    그럼에도 조치는 '주의'에 그쳤습니다.

    신문윤리위가 강제력이 없는 '자율기구'이다보니 솜방망이 징계 말고는 할 수 있는 일이 없었던 겁니다.

    [신미희/민주언론시민연합 사무처장]
    "기사형 광고가 과거에는 신문법에서 기사형 광고로 위법사항이 발견됐을 경우에는 과태료 2천만 원을 부과하는 조항이 있었는데 이 조항이 삭제됐어요. 현재는 이걸 강제할 조항이 없습니다."

    기사형 광고에 대한 과태료를 부활하자는 신문법 개정안이 지난 3월 발의됐지만, 아직 국회에 계류 중입니다.

    [김승원/국회의원 (10월 21일 문체위 국정감사)]
    "우리 국민들이 심하게 기사형 광고에 노출되어 있고 잘못된 선택, 잘못된 계약을 할 가능성이 높아진다는 것입니다."

    이것(기사형 광고)에 대해서 저희가 전반적으로 심각성을 느끼고 한국광고자율심의기구가 찾아낸 기사형 광고는 2019년 5천 5백여건에서 지난해 6천8백여 건으로 증가했습니다.

    이럴 바에는 언론사에 새로운 수익원이 필요하다는 현실을 인정하고, 차라리 '광고'라는 걸 밝히는 '기사형 네이티브 광고'를 양성화하자는 주장이 나옵니다.

    한마디로 뒷광고를 앞광고로 만들자는 겁니다.

    대신 독자에게 광고라는 걸 숨기면 확실하게 제재하자는 주장입니다.

    실제로 미국을 대표하는 정론지인 뉴욕타임스도 '티 브랜드'라는 네이티브 광고 조직을 운영합니다.

    '협찬 기사'라는 걸 분명히 밝히고, 광고주가 원하는 내용을 바탕으로 컨텐츠를 제작합니다.

    [공훈의/방송통신대 겸임교수 (위키트리 창립자)]
    "‘광고주임을 명백히 밝혀라, 누구든지 쉽게 볼 수 있도록 명백히 밝혀라’ 이것이 첫 번째 요건이거든요. 두 번째 네이티브 광고 요건이 뭐냐면 ‘광고지만 콘텐츠를 이용한 광고지만 다른 일반 뉴스 콘텐츠, 에디토리얼 콘텐츠와 똑같은 수준의 펙트체킹 같은 검증을 거쳐라’ 하는 게 두 번째 요건이에요."

    다만, 포털을 통한 기사 접근 비중이 절대적인 우리나라의 현실에서, 이런 네이티브 광고를 포털에 실을 수 있는지는 또 다른 논쟁거리입니다.

    '복붙' 경쟁은 해결책이 있을까.

    현재 정부에 등록된 정기간행물은 2만 1천여 개.

    인터넷 신문만 1만 개가 넘는 무한 경쟁 상태입니다.

    '한강 대학생 사건'처럼 근거없는 음모론도 클릭수만 나오면 검증없이 기사화하는 이유입니다.

    [김서중/성공회대 신문방송학과 교수]
    "공신력 있는 기관에서 만들어 낸 정보조차도 사람들이 믿지 않고, 그게 다 음모론적으로 의혹이 있다고 얘기하게 되죠.유튜버들이나 또는 일반 댓글들에서 나타내는 것과 그것을 그냥 정말 무책임하게 옮긴 언론들의 행태가 이런 현상을 심화시켰다고 생각해요."

    그래서 온라인에서도 구독료를 내고 양질의 정보만 선별해서 받는 '큐레이션' 서비스나 '구독형 콘텐츠'가 대안으로 떠오릅니다.

    그러나 아직은 실험단계입니다.

    [이승환/고해상도(구독형 인터넷 매체) 대표]
    "‘이걸로 떼돈을 벌겠다’ 저희도 아직 적자이기 때문에 그런 것보다는 ‘한국에서 유료로 할 때 어느 정도의 수익이 나올까’ 그런 걸 테스트하는 쪽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김서중/성공회대 신문방송학과 교수]
    "믿을 만한 언론사가 있다는 확신을 소비자한테 심어줄 수 있는 그런 구조를 만들어야 해요. 그래서 유력 언론사들이 정말 이렇게 가다가는 당장에 단기적인 수입은 증가할지 모르지만, ‘우리 공멸하겠다’라는 인식을 가지고 제대로 된 기사를 가지고 경쟁하려고 노력해야 돼요."

    ◀ 허일후 ▶

    언론이 정부나 기업 등을 비판하면서 흔히 하는 표현이 있죠.

    '셀프 개혁'이 가능하겠냐, 외부 감시와 강력한 제재가 필요하다, 이런 이야기들입니다.

    ◀ 김효엽 ▶

    지금 언론계를 향한 시선도 마찬가지일 겁니다.

    뼈를 깎는 노력으로 스스로 달라지지 않는다면, 조금이나마 남은 신뢰조차 사라질 겁니다.

    저희도 뒤돌아보겠습니다.

    ◀ 허일후 ▶

    끈질긴 추적 저널리즘, 탐사기획 '스트레이트'

    ◀ 김효엽 ▶

    다음주에 다시 찾아뵙겠습니다.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인기 키워드

        취재플러스

              14F

                엠빅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