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기종

믿었던 인도마저‥불난 밥상물가 부채질

입력 | 2022-05-16 09:19   수정 | 2022-05-16 09:20
인도가 최근 주요 식량 자원인 밀 수출을 전격 중단한다고 발표했습니다. 지난 13일부터 시행에 들어갔습니다. 인도는 유럽연합과 중국에 이어 세계 3위의 밀 생산 국가입니다. 하지만 대부분 자국 내에서 소비하기 때문에 수출량은 그리 많지 않습니다. 인도산 밀은 전 세계 수출량의 4% 정도로, 국제 밀 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작습니다. 그런데도 인도의 밀 금수 조치는 대형 국제뉴스가 되고 있습니다.

<strong style=″font-weight:bold; font-family:initial;″>인도의 돌변, 불난 물가에 부채질</strong>

국제 곡물 시장이 인도의 발표를 충격으로 받아들이는 배경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그리고 인도의 갑작스런 입장 돌변이 깔려 있습니다. 인도는 이번에 수출 금지를 발표하면서 밀 국제가격 상승과 올해 이상고온에 따른 작황 부진을 이유로 들었습니다. 국내 밀 생산량은 줄었는데 러시아의 침공 이후 국제 밀 가격이 비싸져서 수출이 급증하니까, 이러다가는 인도인들 먹을 식량도 부족하겠다 싶어 부랴부랴 수출금지를 했다는 겁니다.

하지만 며칠 전만 해도 분위기는 사뭇 달랐습니다. 인도 현지 언론은 이달 초 인도 정부의 고위 당국자를 인용해, ″인도 정부는 밀 수출에 어떤 통제도 하지 않고 있으며 밀 수출을 촉진하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두 달 전에도 그랬습니다. 지난 3월 15일 로이터통신은 인도 정부가 밀 수출을 늘려 세계 시장 점유율을 높일 계획이라고 보도했습니다. 당시 인도 정부의 소식통은 3월 수확철 이후 1천만 톤의 밀 수출이 가능할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실제로 인도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밀 수출을 큰 폭으로 늘렸습니다. 인도는 지난달에 밀 140만t을 수출했는데, 1년 전의 5배가 넘는 양입니다. 국제 곡물시장과 밀 수입 국가들이 숨통이 좀 트이나 싶은 시점에 인도는 갑자기 수출금지 조치를 발표한 겁니다.
<strong style=″font-weight:bold; font-family:initial;″>러시아발 물가 불안에 금수 조치 도미노</strong>

인도만 금수 조치를 한 건 아닙니다. 세계 1위 팜유 생산국 인도네시아는 지난달 28일부터 팜유 수출을 금지했습니다. 팜유의 국제 가격이 급등하고 수출이 급증하면서 내수시장에서 식용유 품귀 현상이 벌어지자 긴급하게 내린 조치입니다. 올해 국제 팜유 가격이 급등한 주 요인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때문입니다. 우크라이나와 러시아는 해바라기씨유 수출 1, 2위 국가인데 전쟁으로 수출이 차질을 빚으면서 팜유와 콩기름 등 전반적인 식용유 가격이 크게 올랐습니다.

인도와 인도네시아 외에도 이집트는 3개월간 밀과 밀가루, 콩 등 주요 곡물의 수출을 중단했고, 터키와 아르헨티나, 세르비아 등도 이미 수출을 금지했거나 통제를 검토하고 있습니다. 이처럼 각국이 식량안보를 내세우면서 국제 가격 상승-수출 급증-내수 불안-수출 금지-국제 가격 급등의 악순환이 일어나고 있습니다.
<strong style=″font-weight:bold; font-family:initial;″>라면·빵..밥상 물가에 빨간불</strong>

우리나라는 인도의 밀 수출 금지에 직접 타격을 받지는 않습니다. 밀가루용 수입 밀의 약 95%가 미국과 호주산이기 때문입니다. 나머지 5%는 캐나다산입니다. 하지만 이미 국제 밀 가격은 급등세입니다. 농촌경제연구원에 따르면 지난 3월 평균 밀 수입단가는 t당 0.4달러로 1년 전 같은 달에 비해 47% 뛰었습니다. 국제식량정책연구소에 따르면,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지난 2월 24일 이후 한 달여 만에 국제 밀 가격은 30% 폭등했습니다. 인도의 금수 조치가 장기화되면 국제 밀 가격이 또 오르고 우리나라도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습니다.

국내 식품업체들은 가격 인상과 관련해 아직은 좀 더 지켜보겠다는 반응입니다. 올해 8월초까지 사용할 제분용 밀을 보유하고 있고, 계약분까지 포함하면 10월 말 물량까지는 확보한 상태입니다. 농심·오뚜기·삼양 등 라면 제조업체들은 지난해 하반기에 가격을 인상했기 때문에 단기간에 또 인상을 단행하기는 부담스런 점도 있습니다. 새 정부가 물가 안정을 최우선 과제로 삼고 있는 점도 고려 사항일 겁니다.

<strong style=″font-weight:bold; font-family:initial;″>냉면 1만 원·자장면 6천 원·칼국수 8천 원 넘는데‥</strong>

한국소비자원의 가격정보 포털 ‘참가격’에 따르면, 지난달 서울 지역 식당에서 냉면 평균 가격은 1만192원으로 1만 원을 넘어섰습니다. 자장면 평균 가격은 6천146원, 칼국수는 8천269원입니다. 1년 전에 비해 자장면은 14.1%, 칼국수는 10.8%, 냉면은 9.4% 올랐습니다. 여기에 밀과 식용유 등 국제 식량 가격 상승 추세는 대형 업체뿐만 아니라 자영업자, 소비자 모두에게 큰 부담입니다.

농림축산식품부는 휴일인 어제(15일) 보도 자료를 통해, 국제 곡물시장 불안에 따른 국내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이번 정부 추경안에 밀가루 가격 안정 자금 546억 원 등 관련 예산을 편성했다고 밝혔습니다. 국내 자급률 제고, 해외 곡물 안정적 공급망 확보 등 중장기 대책도 적극 강구하겠다고 했습니다. 식량 확보와 물가 안정 대책은 말로 끝나서는 안 되는 단계에 이미 들어섰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