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곰탕]을 [실제로 곰을 사용해서 만드는 줄] 알고 있어, 우리나라에 곰이 그리 많아요 라는 질문을 받음″
″[심심한 사과]를 [사과가 어떻게 심심하냐]고 함″
″[금일]을 [금요일]로 착각″
″[이부자리]를 듣고 [별자리] 중 하나로 생각함″
″[두발자유화] 관련 토론을 하다가 두발이 [두 다리]인줄 알았다는 학생 등등″
″[무설탕]이라는 단어를 [채소 무로 만든 설탕]으로 알고 있었음″
″′[고가 다리]′를 학생들이 [비싸게 만든 다리]라고 발표함″
전국의 초·중·고교 선생님 5,848명이 학생들의 문해력 부족으로 당황하거나 난감했다며 직접 밝힌 사례 중 일부입니다.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가 오는 9일 제578돌 한글날을 맞아 선생님들을 상대로 ′학생 문해력 실태 조사′를 벌였는데, 문해력 저하가 심각한 수준으로 나타났습니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과거에 비해 문해력이 어떻냐′는 질문에 ′저하됐다′는 답변이 91.8%에 달했습니다.
심지어 별도의 도움 없이는 교과서를 이해하지 못하는 학생이 ′5명 중 1명 이상′ 이라는 답변도 ′30.4%′에 달했고, 문제를 이해하지 못해 시험을 치기조차 곤란한 학생이 ′5명 중 1명 이상′이라는 답변도 21.4%나 됐습니다.
한 선생님들은 이런 상황에 대해 ″어휘가 부족한 아이들이 한 교실에 10%가 넘으니 수업 진도가 느려진다″ 며 ″인과관계, 간과하다 같은 상식적인 기본적 단어의 뜻까지 설명해주고 있어서 그렇다″고 심각성을 토로했습니다.
또 다른 선생님 역시 ″현재 5학년 학생이 이성교제라는 단어를 몰라 데이트라고 바꾸니 이해했다″고 했는데 ″학업성취도가 낮은 학생이 아니었다″고 밝혀 충격을 주기도 했습니다.
<div class=″ab_sub_heading″ style=″position:relative;margin-top:17px;padding-top:15px;padding-bottom:14px;border-top:1px solid #444446;border-bottom:1px solid #ebebeb;color:#3e3e40;font-size:20px;line-height:1.5;″><div class=″dim″ style=″display: none;″><br> </div><div class=″dim″ style=″display: none;″>━<br> </div><div class=″ab_sub_headingline″ style=″font-weight:bold;″>#문해력 저하 왜? ″디지털 매체 과사용″</div><div class=″dim″ style=″display: none;″><br></div></div>
선생님들은 아이들의 문해력 저하의 원인을 어디서 찾았을까요?
36.5%가 ′스마트폰, 게임 등 디지털 매체 과사용′을 1순위로 꼽았습니다.
이어 독서 부족(29.2%), 어휘력 부족(17.1%), 기본 개념 등 지식 습득 교육 부족(13.1%) 순으로 원인을 찾았습니다.
관련해 한 선생님은 ″쇼츠영상과 같은 짧고 단순한 매체에 익숙하다 보니 글이 조금만 길어도 자세히 읽어보려고 하지 않고 주요내용을 찾아내지 못한다″고 설명했고,
다른 선생님 역시 ″디지털매체 활용 능력은 뛰어나지만, 도서 교과서 등 활자화된 매체에 대한 거부반응이 심해서 질문 등에 대한 이해력이 떨어진다″고 밝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