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데스크정동훈

탐지하고도 왜 몰랐나, 용산 대통령실 일대 촬영은?

입력 | 2023-01-05 19:51   수정 | 2023-01-05 19:52

Your browser doesn't support HTML5 video.

◀ 앵커 ▶

군은 왜 당초 그토록 확신했던 무인기의 궤적을 일주일이나 지나 수정했을까요.

또, 이 무인기가 용산 대통령실로부터 불과 3킬로미터 남짓 거리까지 접근했다면, 어디까지 촬영이 됐을까요?

정동훈 기자가 짚어봤습니다.

◀ 리포트 ▶

군은 북한 무인기 출몰 다음날인 지난달 27일부터 대응 작전 전반에 문제가 없었는지, 조사에 착수했습니다.

전방 방공 부대 외에도, 대통령실 주변 경호를 맡은 방공부대에 관한 조사도 진행됐습니다.

이 과정에서 서울 상공을 침범한 무인기가 레이더에 탐지된 비행 궤적을 다시 들여다본 결과, 비행궤적 하나가 추가로 확인됐습니다.

군 관계자는 ″레이더 기록을 초 단위로 정밀 분석한 결과 작은 점 여러 개가 추가로 확인됐고, 이걸 연결해 보니 무인기 궤적일 가능성이 높다는 판단이 나왔다″고 말했습니다.

다만 ″작은 점 여러 개가 시차를 두고 나타났다 사라졌다를 반복해, 무인기 침범 당시 작전 요원이 이 점들만 보고선 무인기 궤적으로 식별하는 건 제한됐을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류성엽/21세기군사문제연구소 전문연구위원]
″(레이더 상의 비행 궤적이) 선형으로 쭉 이어져서 명확하게 보이는 상황이면, 이걸 정확하게 어떤 종류의 항적이다라는 걸 판단하기가 쉬워지는데, 이건 충분히 새 떼나 민간 드론으로 착각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당시는 무인기로 비상이 걸린 상황이어서 궤적들을 면밀히 판단할 필요가 있었습니다.

또 궤적을 무인기로 재평가하는데 일주일이나 걸렸습니다.

군은 이 무인기가 용산 대통령실과 3km 남짓한 곳까지 접근했다면서도, 이 일대를 촬영했을 가능성은 매우 낮은 것으로 판단했습니다.

가능성을 배제할 순 없다고 한 국정원과는 다소 결이 다른 판단입니다.

군은 일단 비행궤적이 용산 쪽을 지속적으로 향하지 않은 것으로 봤습니다.

또 탑재된 카메라를 무선조작하지 않고는 정밀 촬영이 불가능한데, 이번 무인기는 지상과 교신 없이 사전 입력된 좌표에 따라 자체 비행한 것으로 파악했습니다.

때문에, 군은 촬영을 했다 하더라도, 구글지도 수준에 불과해 정보가치는 없을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군은 대통령실 방공 부대의 판단이 적절했는지 책임을 가리고, 레이더 탐지 능력도 보강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MBC뉴스 정동훈입니다.

영상취재 : 김신영/영상편집 : 박병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