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뉴스데스크
엠빅뉴스
14F
정치
사회
국제
경제
문화
스포츠
뉴스투데이
이성일
[뉴스 속 경제] '알리·테무' 공습‥중소기업·소상공인 '울상'
입력 | 2024-03-29 07:40 수정 | 2024-03-29 08:00
Your browser doesn't support HTML5 video.
◀ 앵커 ▶
한국 시장에서 경쟁하는 글로벌 온라인 상거래 플랫폼들이 수조 원짜리 투자 계획을 잇따라 발표했습니다.
우리 유통업체, 소상공인, 소비자들의 반응, 이성일 기자와 짚어보겠습니다.
대표적인 게 중국 알리와 테무죠?
돌풍이 엄청납니다.
이거 왜 이렇게 인기가 많은 겁니까?
◀ 기자 ▶
아시다시피 ′싸다′는 표현으로는 부족한 ′초초저가′ 상품에 대한 관심이라고 평가해야 할 것입니다.
중국 온라인 상거래 업체 알리는 한국 진출 6년 만에 이용자 800만 명 넘었고, 1년이 채 안 된 테무도 500만 넘는 이용자를 확보했습니다.
플랫폼 거래액을 중국발 직구 구매액으로 추산하면 최대 3조 원이 되는데, 전체 유통 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 대단한 것은 아닙니다.
놀라운 것은 성장의 속도입니다.
정밀한 기술 필요없는 악세서리·생활용품 가격을 보면, 국내 온라인 가격보다 반값으로 파는 제품을 쉽게 찾을 수 있습니다.
품질은, ″한번 쓰고 버려야 한다″는 혹평을 받는 수준의 제품도 자주 눈에 띄지만, 구매 상품 일부만 써도 이득이라고 계산하거나, 시험 삼아 사보니 기대보다 괜찮다는 이용자를 확보하는 데는 일단 성공했습니다.
◀ 앵커 ▶
공습이라는 표현까지 쓰더라고요.
이제는 미국까지 공격적으로 진출을 하고 있다고요?
◀ 기자 ▶
테무는 2022년 8월부터 미국에 진출해 2년여 만에 5천만명에 이르는 이용자를 확보했습니다.
속칭 ′1달러 샵′으로 불리는 저가 제품 유통 시장에는 벌써 존재감이 뚜렷합니다.
땅이 넓은 미국에서 물류 센터를 갖지 못한 태생적 약점을, 월등히 값이 싼 중국산 제품으로 상쇄하려는 시도가 빛을 보고 있는 것입니다.
여기에 지난해 17억 달러를 쏟아부은 공격적 마케팅의 덕을 봤는데, 미국에서 가장 비싼 슈퍼볼 광고를 해 주목받은 것이 대표적 사례입니다.
주문 1건에 1만 원씩 손해를 본다고 할 정도로 손실이 컸지만, 수십조 원 현금 자산 가진 중국 본토 모기업 자금력을 감안하면 계산된 손실이 분명하고, 이 때문에 전 세계 최대 온라인 상거래 업체 아마존도 잠재적 경쟁자로 여기고 긴장하는 분위기입니다.
◀ 앵커 ▶
우리나라 유통업체들도 비슷한 경계령이 내렸겠어요?
◀ 기자 ▶
앞서 나선 업체는 온라인 업계 1위 쿠팡, 물류 센터 확보에 앞으로 3년 동안 3조 원을 투자하겠다고 발표했습니다.
앞서 물류 센터에 1조 5천억 원 투자하겠다는 알리의 계획에 대한 대응이었는데, 알리는 쿠팡 계획 나온 지 불과 2-3시간 만에 입점 업체 수수료 없애는 정책을 연장하겠다는 발표로 다시 맞받았습니다.
풍부한 자금을 가진 글로벌 기업들이 막대한 투자 계획을 주고 받는 이 시점, 국내 유통 기업들의 분위기는 사뭇 다릅니다.
창사 이래 첫 적자를 본 이마트, 몇 년째 적자 누적된 11번가, 잇따라 명예퇴직-감원을 발표했기 때문입니다.
◀ 앵커 ▶
거대 기업들이 이 정도면, 중소기업이나 상인들은 정말 힘들겠어요?
◀ 기자 ▶
그렇습니다.
중국계 플랫폼에서 파는 제품 거의 대부분 중국에서 제조했습니다.
우리 제조·수입·판매업체를 거치지 않고, 소비자에게 팔고 있습니다.
비슷한 제품을 파는 소규모 온라인 판매상들부터 타격을 입고 있다는 경고가 나오고, 저가 공세에 밀린 국내 제조업체 상당수가 조만간 생존 기반을 위협받을 것이라는 걱정이 커지고 있습니다.
◀ 앵커 ▶
소비자들 입장에서는 싼 가격에 살 수 있으면 좋은 것 아닙니까?
◀ 기자 ▶
그렇죠.
코로나 팬데믹 때 막대한 돈이 풀린 뒤, 전 세계적으로 물가를 올린 상황입니다.
소비자들에게는 값싼 제품 어느 때보다 반가운 소식입니다.
하지만, 걱정도 있습니다.
개인이 국경 너머 제품을 직접 사오는 형식이라, 수입 절차를 밟을 때 걱정하지 않아도 될 안전성 문제가 떠오르게 됩니다.
국내 판매할 수 없는 성분의 중국산 농약이 반입·사용돼 물의를 빚었던 것처럼, 직구로 구입한 유아용품 생활 소비재들은 안전성이 떨어지더라도 소비자들이 구별할 수 없습니다.
$150 이하 물건에 관세를 물리지 않는 관세 규정도, 직구 규모가 커지면서 간과할 수 없는 문제로 발전할 수 있습니다.
◀ 앵커 ▶
소비자 보호를 위해서도 대응이 필요해 보이기는 합니다.
◀ 기자 ▶
미국과 유럽에서도 중국 상거래 업체들의 시장 침투에 대한 경계감 높아지면서, 정부·의회가 나서 제한 조치를 검토하고 있습니다.
소비자들의 안전이 우선 고려 대상이지만, 중국산 저가 제품이 소상공인들 생존을 위협할 수 있다는 걱정도 신속한 대응에 나선 배경입니다.
우리 정부도 공정거래위원회가 소비자 보호, 산업부는 중소기업 보호 차원에서 대응에 나섰는데, 어떤 방안을 내놓게 될지 지켜봐야겠습니다.
◀ 앵커 ▶
이성일 기자, 잘 들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