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뉴스데스크
엠빅뉴스
14F
정치
사회
국제
경제
연예
스포츠
뉴스데스크
조희형
[바로간다] '나눔'하려 기부한 음식…직원들 아침식사로?
입력 | 2020-06-17 20:38 수정 | 2020-06-17 21:50
Your browser doesn't support HTML5 video.
◀ 기자 ▶
바로간다, 인권사회팀 조희형 기자입니다.
각 지자체엔 기부받은 식품과 생활용품을 저소득층에게 무료로 제공하는 비영리 나눔은행이 있습니다.
바로 푸드뱅크입니다.
그런데 서울 강남구청의 위탁을 받은 푸드뱅크가 기부받은 물품을 되팔아 수익을 챙긴다는, 믿기지 않는 제보가 들어왔습니다.
어떻게 된 일인지, 현장으로 바로 가보겠습니다.
◀ 리포트 ▶
서울 강남구청이 위탁 운영하는 한 푸드뱅크 매장.
라면과 통조림 같은 식료품부터 바디로션 등 각종 생필품이 진열돼 있습니다.
모두 기부 받은 물건들입니다.
결식 아동이나 혼자 사는 노인 같은 저소득층이 지자체에서 받은 바우처를 내고 무료로 가져갈 수 있습니다.
그런데, 그렇지 않은 경우가 있었다고 합니다.
[제보자]
″후원받은 물품들을 직원 본인이 사용하는 모습을 많이 봤고요. 갖고 싶은 사람들 갖거나…″
기부받은 주먹밥과 샌드위치가 직원들의 아침 식사가 됐다는 사진입니다.
[제보자]
″냉동실에다 떡을 넣어놨다가 그 떡을 아침마다 출근해서 데워서 먹는 행동을 하고…″
직원용 냉장고도 기부 받은 올리고당과 고추장과 된장, 각종 식재료로 채워져 있습니다.
후원자가 기부한 전기 방석은 직원 사무실 의자에 놓였습니다.
=============================
이뿐만이 아닙니다.
바자회를 열었는데, 기부자들이 판매를 허락하지 않은 물건들까지 버젓이 팔았다고 합니다.
2017년 11월 강남 푸드뱅크의 바자회 매대에 올라온 내복제품.
사회복지공동모금회가 기부한 물건입니다.
그런데 푸드뱅크측이 2016년 사회복지공동모금회에 제출한 보고서에는 저소득층 회원들에게 내복을 ′배분했다′고 적혀있습니다.
″선호도가 높았는데 사이즈가 다양하지 않아 아쉬웠다″고까지 써놨습니다.
사회복지공동모금회가 물건을 넘기면서 ′이윤추구를 하지 말 것과 바자회용 등′으로 쓰지 말라고 명시했는데, 기증자의 뜻과는 정반대였습니다.
제보자는 자신도 푸드뱅크에서 일하면서 본래 판매 불가 후원품이었던 비싼 셔츠와 등산복을 바자회에서 샀다고 털어놨습니다.
[제보자]
″(사회복지공동모금회) 그쪽에서 넘어오는 물품들이 좀 고가예요. 이건 ○○셔츠인데요. 아마 3장에 만원. (등산복) 이건 좀 비싸게 주고 샀던 것 같아요. 4만원? 3만원?″
그 수익은 푸드뱅크를 운영하는 법인으로 보냈다가 다시 푸드뱅크가 돌려받는 방식으로 사용됐습니다.
법인이 푸드뱅크에 줘야 할 운영자금을 후원물품을 팔아 충당했다는 겁니다.
2016년부터 2018년까지 3년 동안 이렇게 마련한 돈이 2천 200만 원.
[제보자]
″(푸드뱅크 운영) 법인은 돈을 벌 필요가 없는 거죠. 돈이 없어도 저희(푸드뱅크) 쪽을 운영을 할 수 있는 거죠. (바자회 수익을) 직원 수당이나 복지 용도로 사용을 했습니다.″
이런 관행은 10년간 반복됐다는 게 제보자들의 주장입니다.
[전직 강남 푸드뱅크 직원]
″(누구든지) 마음만 먹으면 그 돈을 얼마든지 빼돌릴 수 있다는 거예요. 현금을 주머니에 넣어가면 어떻게 알아요.″
바자회는 지난해부터는 열리지 않았습니다
그렇다면 기부 물품 판매는 중단됐을까.
매장을 찾아가봤습니다.
′일반인도 구매가능′이라고 적혀 있는 매대의 삼천원짜리 줄무늬 티셔츠.
[강남 푸드뱅크 관계자]
(저기서 판매하는 거는 후원물품이 아니에요?)
″아 저거는 대량으로 많이 들어왔을 때 파는 거예요. 너무 많아서 이제 소화가 안 되는 거죠.″
하지만 제보자들의 얘기는 다릅니다.
[제보자]
″사실 판매하면 안되는 물품이에요. 의류는 거의 사회복지공동모금회를 통해서 입고가 되는 경우가 대부분이고요.″
1년 전 새로 강남 푸드뱅크 운영을 맡은 책임자는 예전에는 부적절한 관행이 있었다고 들었지만, 지금은 전혀 없다고 밝혔습니다.
[강남 푸드뱅크 관계자]
″기부업체에 판매 가능한지 확인한 다음에 판매하고 있는 물건입니다.″
전 운영자는 재정이 부족해 벌어진 관행이었다고 항변했습니다.
[강남 푸드뱅크 전 운영자]
″법인의 재정능력이 많이 부족, 열악하죠. 그 부족분들을 (푸드뱅크) 자체적으로 수익사업, 후원사업 이런 것들 통해서 보전해주는 성격이에요.″
관리감독을 해야 할 구청은 이런 문제를 알고 있을까.
[강남구청 관계자]
″푸드마켓은 절대 바자회나 이런 건 할 수가 없습니다. 하지도 않았고요. (그런 민원은 따로 받으신 적 없으세요?) 그때 당시엔 팀의 팀장이 아니어서 정확히 더 확인해봐야 할 거 같은데요.″
하지만 제보자들은 구청측이 묵인했다는 의혹까지 제기했습니다.
푸드뱅크 담당 부서인 ′강남구청 복지정책과 요청 물품′이라고 적힌 봉투에 유명 브랜드의 셔츠들이 담겨 있습니다.
[전직 강남 푸드뱅크 직원]
″(구청 공무원) 자기네들이 선물한다든가 내지는 자기가 그걸 입기 위해서 신발이라든가 의류같은 경우는 ′그거 내 물품이니까 거기다 뒀다가 나중에 내가 가져갈게′ (이런 식이죠.)″
서울 수서경찰서는 강남 푸드뱅크 전 운영책임자 등을 식품기부법 위반 등의 혐의로 현재 수사하고 있습니다.
전국의 푸드뱅크는 470여곳.
한 곳만의 문제는 아닐 거라는 게 제보자들의 주장입니다.
[제보자]
″일단 거의 돈이 없는 법인들, 능력이 없는 법인들이 좀 있어요. (그런 법인들은) 거의 다 이렇게 한다고 보면 되고요…″
바로간다 조희형입니다.
(영상취재 : 김동세, 전승현, 남현택 / 영상편집 : 문명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