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데스크고현승

"살아서 나갈 수 있을까" 사도광산의 참혹한 기록

입력 | 2021-12-30 20:21   수정 | 2021-12-30 20:26

Your browser doesn't support HTML5 video.

◀ 앵커 ▶

′오늘은 살아서 나갈 수 있을까′

사도광산에 강제 동원된 조선인 광부의 증언입니다.

일본이 ′군함도′에 이어서 또 다른 강제 노역의 현장인 사도광산을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하는 걸 추진하고 있죠.

강제 동원의 기록들은 물론이고 광산 노동이 얼마나 열악하고 처참했는지, 증언들이 남아 있지만, 일본은 여전히 이런 참혹한 기록들을 외면하고 있습니다.

도쿄에서 고현승 특파원이 전해드리겠습니다.

◀ 리포트 ▶

사도광산에 강제동원된 조선인은 1천2백여 명,

조선인 숙소의 입소자 기록과 담배지급 명부 등에는 한국 이름이 빼곡히 실려있고, 패전 후 귀국한 조선인 1천140명의 임금을 체불해 공탁했다는 기록도 남아있습니다.

강제동원 이유도 노골적입니다.

사도광산은 폐병인 규폐증으로 악명이 높았는데, ′일본인 노동자 중 규폐증을 앓는 사람이 많아 채광량이 여의치 않아서′ 조선인을 데려왔다고 기록돼 있습니다.

실제로 조선인은 주로 채굴과 운반, 기둥을 세우는 갱내 작업에 투입됐고, 일본인은 대체로 지상에서 일했습니다.

[히로세 데이조/후쿠오카대 명예교수]
″위험한 노동은 일본인이 아닌 조선인에게 시킨다는 방침이 있었습니다. 갱내 노동은 대부분 조선인이라고 (사도광업소 기록에) 확실히 쓰여있습니다.″

가혹한 노동 탓에 광산을 탈출한 조선인도 많아 1940년부터 43년 사이에만 148명, 전체 15%가 도망갔다고 기록돼 있습니다.

당시 사도 광산에서 일했던 임태호 씨,

생과 사의 경계에 선 하루하루가 공포였다. 오늘은 살아서 나갈 수 있을까.

생전에 생생한 구술 기록을 남겼습니다.

그는 광산을 탈출한 뒤에도 평생 폐병에 시달렸는데, 끝내 일본의 사과조차 받지 못한 채 지난 1997년 숨졌습니다.

[임경숙/故 임태호 씨 유족]
″폐 안에 구슬 같은 것이 있었답니다. 그래서 숨 쉬는 것도 잘 못하는 형편에서 오래 견디다 억울하게 세상 떠나셨다고 생각합니다.″

이 같은 참혹한 기록을 모두 외면한 채, 일본은 19세기 이전 금은을 캐던 광산 시설만을 내년 초 세계문화유산으로 유네스코에 신청할 방침입니다.

도쿄에서 MBC뉴스 고현승입니다.

영상취재 : 이장식(도쿄) / 영상편집 : 조민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