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뉴스데스크
엠빅뉴스
14F
정치
사회
국제
경제
연예
스포츠
뉴스투데이
차주혁
'유리 멘탈' 탓하는 회사‥"개인 아닌 사회적 죽음"
입력 | 2022-01-14 06:45 수정 | 2022-01-14 11:20
Your browser doesn't support HTML5 video.
◀ 앵커 ▶
과로와 업무 스트레스로 희생되는 사람들, 전문가들은 적어도 3-4천 명에 이를 거라고 보고 있습니다.
이른바 ′유리 멘탈′ 탓을 해선 해결할 수 없는 사회적 죽음인 겁니다.
차주혁 기자입니다.
◀ 리포트 ▶
대학원을 졸업하고 3년 만에 취업한 회사.
회사는 그를 궁지에 몰아 넣고, 멘탈을 탓했습니다.
″너 임마 갈 데까지 간 거야. 갈 데까지 갔다는 게 뭔 얘긴 하는 건지 알지? (네) 뒤가 없다고. 서승우. 너 멘탈 진짜 약해. 바뀌어야 된다. 바뀌어야 돼.″
그는 이 통화 다음날 죽음을 택했습니다.
현대차 디자이너 이찬희 씨의 죽음.
현대차는 ″예민한 성격″을 거론하며 개인 탓으로 돌렸습니다.
현대차가 내놓은 공식 입장은 ″개인적인 사정으로 발생한 사건″이고, ″회사와 직접 관련이 없다″는 겁니다.
[김인아/한양대 의과대학 직업환경의학교실 교수]
″되게 충격적이었어요. 현대자동차가 오피셜(공식 입장) ′개인적 문제′라고. ′개인적 문제이니 저희은 잘 모르겠습니다′ 이런다는 거죠. 자살을 개인적 문제로 보면 안되는 거예요. 자살은 사회적 문제예요.″
′과로 자살′로 희생되는 사람들은 얼마나 많을까?
2020년 자살 1만3천 건 가운데 ′직장 또는 업무상의 문제′로 공식 분류된 건 492명.
4%도 안 됩니다.
하지만 정작 이찬희 씨도, 서승우 씨도 여기에서 빠져 있습니다.
두 사람 모두 직장 문제가 아니라 정신과적 문제로 분류됐습니다.
정신과적 문제로 자살한 사람은 4천9백명.
실제로는 훨씬 더 많은 사람들이 과로, 직장내 괴롭힘, 업무 압박으로 희생되고 있다는 뜻입니다.
[김용준/변호사]
″일단은 통계 자체가 잘못됐다고 봐요. 실무에서 보면 사실 1만2천여 명 자살자들 중에 30~40%에 이르는 분들이 업무상 사유로 자살을 하고 있다고 보여지고요.″
한국 기업들에 남아있는 군사 문화, 과도한 경쟁, 장시간 노동, 그리고 자살을 개인 탓으로 돌리는 사회 인식.
[류현철/한국노동안전보건연구소장 (직업환경의학 전문의)]
″사회가 좀 변해야 된다. 다 알고 있거든요. 자기도 스트레스 받아봤고 그런데 자기는 살아남은 거고 버텨온 것이지 않습니까. 이 과로 자살의 이야기에서 출발해서 넓어졌으면 좋겠다.″
일본은 2014년 세계에서 유일하게 과로사를 따로 공식 분류하고, 과로사방지법도 만들었습니다.
직장내 괴롭힘에 의한 정신과적 자살도 ′과로사′에 포함시켰습니다.
그 결과 2001년 한국보다 높았던 사회 전체의 자살율이 매년 줄어들고 있습니다.
한국에서는 매일 36명이 자살합니다.
자살율은 OECD 평균 2배가 넘는 압도적 1위입니다.
MBC뉴스 차주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