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투데이남효정

'희생자' 대신 '사망자'로‥'참사'는 '사고'로

입력 | 2022-11-02 06:43   수정 | 2022-11-02 06:43

Your browser doesn't support HTML5 video.

◀ 앵커 ▶

이태원 참사 바로 다음 날부터 정부가 참사에 대한 명칭을 ′이태원 사고′로 통일하고 ′피해자′ 대신 ′사망자′ 라고 쓰자고 결정한 사실이 확인됐습니다.

정부는 ′가해자와 책임 부분이 명확하지 않기 때문′이라고 설명했습니다.

남효정 기자입니다.

◀ 리포트 ▶

이태원 참사를 가슴 아파하며 많은 시민들이 분향소를 찾고 있습니다

그런데 정부가 마련한 추모 장소의 이름은 ′이태원 사고 사망자 합동 분향소′

세월호 참사 등 예전엔 통상 ′희생자′ 분향소로 부르던 것과 차이가 납니다.

분향소가 이렇게 꾸려진건 정부가 ′이태원 사고 사망자′라고 쓰라는 공식 지침을 내렸기 때문입니다.

참사 바로 다음 날 열린 중대본 회의에서 관련 논의가 이뤄졌습니다.

행안부는 지자체 부단체장들과의 회의에서 ′10월 30일 오전 중대본 회의의 주요 내용′이라며, 사고 명칭을 ′이태원 사고′로 통일하기로 했다고 전했습니다.

또 피해자가 아닌 ″사망자″, ″사상자″ 같은 객관적 용어를 쓰라는 지침도 내렸습니다.

이에 대해 대형 참사가 벌어졌는데 정부가 책임을 인정하지 않고, 사건을 축소하는데 급급한게 아니냔 지적이 나왔습니다.

[이형석/더불어민주당 의원]
″국내 언론 어디에도 ′사고′라고 표현을 쓰는 곳은 없습니다. 중대본이 이태원 참사 자체를 축소하려는 그리고 또 정부의 책임을 회피하려는 대단히 개탄스러운 행태다.″

중대본은 사고의 책임이 명확하지 않은 상황에서 중립적인 단어를 쓴 거라고 밝혔습니다.

[김성호/행정안전부 재난안전관리본부장]
″책임 이런 부분이 이제 명확하게 나온 부분에 대해서는 사실 뭐 ′희생자′라든가 ′피해자′ 이렇게 용어도 사용합니다만, 명확해지지 않은 상황에서는 좀 중립적인 용어가 필요하지 않을까.″

대통령실 관계자는 ′공식적인 행정 문서에서 표현하는 것을 현 정부가 가진 애도의 마음과 혼돈하지 말라″면서 ′행정상 표현의 문제′라고 선을 그었습니다.

이와 별도로 총리가 이태원 참사를 애도할 때 ′근조′ 같은 글자가 없는 리본을 쓰라고 지시한 것도 논란이 됐습니다.

각 지자체에서 리본을 새로 사거나 뒤집어 쓰는 등 혼란이 벌어지자, 지침을 만든 인사혁신처는 ″신속히 준비할 수 있는 단순한 형태의 리본을 안내한 것″이라며 ″검은색 리본이면 규격에 관계없이 착용할 수 있다″고 입장을 바꿨습니다.

MBC뉴스 남효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