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데스크고병찬

"나도 당했다" 쏟아지는 딥페이크 피해 제보‥국가는 뭐 했나

입력 | 2024-08-27 20:14   수정 | 2024-08-27 21:28

Your browser doesn't support HTML5 video.

◀ 앵커 ▶

″물리적 성폭력도 아닌데 무슨 성범죄냐. 진짜 사진도 아니지 않냐.″ 누군가는 이렇게 합성물 성범죄를 가볍게 바라보는 동안, 합성 기술은 더 정교해졌고 피해자는 셀 수 없이 많아졌습니다.

그리고 국가는, 피해자들을 보호하는 데도, 범인을 붙잡는 데도 소극적이었습니다.

지금 터져 나온 사회적 공분은 그동안 참아온 피해자들의 분노입니다.

고병찬 기자입니다.

◀ 리포트 ▶

대학가를 중심으로 합성물 유포 범죄가 기승을 부린다는 보도가 나오기 시작한 건 2010년대 중반 무렵입니다.

[2018년 1월 6일, 뉴스투데이]
″최근 일반 여성의 얼굴을 음란물에 합성해 퍼트리는 이른바 ′지인 능욕′이 확산하고 있다고 합니다.″

초기엔 조악한 수준의 합성이 대부분이었습니다.

하지만 ′딥페이크′ 기술의 등장으로 합성물은 더 정교해지고, 여기에 추적이 어려운 채팅 앱 ′텔레그램′이 결합하자 피해 규모는 눈덩이처럼 불었습니다.

[텔레그램 딥페이크 합성물 피해자 (음성변조)]
″평범하게 그냥 밖에서 찍은 사진인데 거기에 이제 나체로 합성을 해서‥내 일상이 얘한테는 장난거리구나, 왜 굳이 이렇게까지 할까‥가족들 신상까지 돌아다니다 보니까 나 때문에 내 가족이 피해 보면 어떡하지‥″

하지만 공론화는 쉽지 않았습니다.

피해를 호소하기 위해 찾은 경찰, 법원에서조차 ″물리적 성폭력이 있었던 것도 아니고, 진짜 사진, 영상도 아니지 않냐″는 편견과 맞닥뜨려야 했습니다.

′딥페이크′는 전문지식이 있어야 할 수 있다는 오해도 일조했습니다.

[김혜정/한국성폭력상담소 소장]
″여전히 성폭력이 ′모르는 사람으로부터 길에서 당한다′는 이런 편견이 있습니다. 불법 합성, 성적인 이미지로 간단하게 만들어서 이걸 퍼뜨리고 모욕하는 이런 행위에 대해서 국민들이 많이 알고 있지 못했고‥″

하지만 서울대, 인하대 딥페이크 성범죄 연속 보도에 이어 중학교·고등학교 등 학교마다 딥페이크 합성물이 유포되는 방이 있다는 소식까지 전해지자 피해자들의 목소리가 한꺼번에 쏟아져 나왔습니다.

[신경아/한림대 사회학과 교수 (전 한국여성학회 회장)]
″가장 안전해야 하는 장소에서 나와 내 친구들이 언제든지 피해자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훨씬 더 공포스러운 상황이 됐다고 할 수 있습니다.″

″나도 당했다″, ″내 친구도 당했다.″ 제2의 미투 운동에 비견될 만큼 사회적 공분이 터져 나오는 지금 전문가들은 지금이라도 국가가 앞장서서 피해 예방과 가해자 처벌을 위한 제도 개선에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MBC뉴스 고병찬입니다.

영상 취재 : 이준하 / 영상 편집 : 허유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