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박종욱

[알려줘! 경제] 제주-이스타 꼬여버린 M&A…"피해는 또 노동자 몫"

입력 | 2020-05-22 10:38   수정 | 2020-05-22 15:44
서울 여의도 민주당사 앞에 가면을 쓴 사람들 백여명이 모였습니다.

이들은 몇 달 전까지만 해도 하늘길을 누비던 이스타항공 조종사들.

하지만 지난 2월부터 월급을 받지 못하고 지금은 대리 운전과 택배 배송을 하며 하루하루 생계를 걱정하는 처지가 됐습니다.

최악의 상황…꼬여버린 M&A

당초 일정대로라면 제주항공의 이스타항공 인수는 지난달 마무리됐어야 합니다.

하지만 지금은 언제 될 지, 아니 인수가 될 지 자체를 모르는 상황이 됐습니다.

표면적 이유는 해외 기업결합심사가 지연되고 있다는 거지만, 그게 전부가 아니란 걸 모르는 사람은 없습니다.

코로나19로 항공업계가 직격탄을 맞으면서 그렇지 않아도 어렵던 이스타항공은 말그대로 고사 상태에 빠졌습니다.

지난 1분기 영업손실만 359억원. 완전자본잠식 상태에, 현금성 자산도 거의 없습니다.

비행기를 띄울 때마다 손실만 쌓이다보니 국제선은 물론 국내선도 모두 셧다운.

다른 항공사들이 하나 둘씩 국제선 운항 재개 계획을 발표할 때 이스트항공은 셧다운 연장 계획을 내놨습니다.

이러다보니 제주항공이 인수를 미루는 것도 어느정도 이해가 갑니다.

밑 빠진 독에 물 붓는 상황을 걱정해야 하는 처지가 됐기 때문입니다.

제주항공 역시 1분기 657억원의 영업손실을 기록하면서 1천7백억원의 유상증자 계획까지 발표했습니다.

여유가 없어진 겁니다.

<iframe src=′https://tv.naver.com/embed/13918541?autoPlay=true′ frameborder=′no′ scrolling=′no′ marginwidth=′0′ marginheight=′0′ WIDTH=′100%′ HEIGHT=′360′ allow=′autoplay′ allowfullscreen></iframe>

″체불 임금 책임져라″ 책임 떠넘기기

상황이 바뀌니 입장도 바뀌었습니다.

제주항공이 지난해 매각 양해각서를 체결할 때 했던 고용승계 약속은 올해 3월 ′구조조정′으로 바뀌었습니다.

인수계약 유지를 바라는 이스타 항공 경영진은 계약해지와 희망퇴직으로 화답했습니다.

비용절감을 위해 리스 항공기는 계약이 3-4년이나 남아있지만 반납했습니다.

추가 인력 구조조정도 추진했지만, 일단은 노사가 최대 35%의 임금을 삭감하는 선에서 합의를 했습니다.

그런데 이스타항공의 체불임금이 인수 협상의 새로운 변수로 다시 등장했습니다.

제주항공은 체불임금 해소를 위해 2백억원 가량의 사재를 이스타항공 대주주가 출연하라며, 주식매매계약 조건 변경을 요청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반면 이스타항공은 계약상 체불임금은 인수자가 부담할 몫이고, 이런 점을 감안해 인수 가격도 정해졌다는 입장입니다.

현재로선 양측의 간극은 쉽게 좁혀질 것 같지 않습니다.
손 놓고 있는 최대 주주…

이스타항공은 더불어민주당 이상직 국회의원 당선인이 사실상 실소유주입니다.

최대 주주 이스타홀딩스 지분은 이 당선인의 아들과 딸이 100%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가족회사이자, 이 당선인이 실질적인 오너인 셈입니다.

당초 계약대로 매각이 성사되면 545억원의 매각대금은 이 당선인 일가가 가져가게 됩니다.

하지만 현재 이상직 당선인과 이스타홀딩스는 이 위기를 수습할 어떤 해결책도 내놓지 않고 있습니다.
노동자들이 몇 달 동안 월급 한 푼 못받고 있지만, 고통분담의 움직임도 없습니다. 어떤 식으로든 어서 매각만 끝나기를 기다리고 있는 모습입니다.

정부 여당 소속으로 국회의원에 당선됐지만, 정작 정부의 지상목표인 고용안정은 외면하고 있다는 비판을 피하기 어려워 보입니다.

피해는 또 노동자 몫…

제주항공과 이스타항공의 줄다리기가 빠른 시간 안에 정리될 것으로 보이진 않습니다.

제주항공은 흐르는 시간이 아쉽지 않을 것이고, 이스타항공도 무턱대고 헐값에 팔려고 하지는 않을 것이기 때문입니다.

혹시나 최악의 상황이 되면 정부가 더 도와주지 않을까 하는 기대도 갖고 있을지 모릅니다.

이런 싸움은 인수합병 과정에서 어쩌면 당연한 모습일지도 모릅니다. 하지만 문제는 그 과정에서 피해를 보는 건 언제나 노동자라는 익숙한 역사가 이번에도 반복되고 있다는 겁니다.

이스타항공에선 약한 고리인 계약직 186명이 먼저 해고됐고, 이스타항공이 100% 출자한 지상조업사 이스타포트의 노동자 수백 명도 계약이 해지돼 일자리를 잃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