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정동훈
마크 램지어 하버드대 로스쿨 교수의 ′위안부 논문′ 사태에 미국의 주류 언론 매체들이 관심을 기울이기 시작했습니다.
그동안 소수의 인터넷 매체 외에는 이 사안을 다루는 미국 매체가 없었습니다.
뉴욕타임스는 현지시간 26일 ′한 하버드 교수가 전시 성노예들을 매춘부로 불렀다가 반발을 샀다′는 제목의 서울발 기사에서 램지어 교수의 논문이 한국은 물론 미국의 학자들 사이에서 격렬한 반응을 일으켰다고 보도했습니다.
이 보도는 미 저명 시사주간지 뉴요커가 석지영 하버드대 로스쿨 종신교수의 기고문을 통해 ′램지어 사태′의 전말과 관련 동향을 상세히 전달한 직후에 이뤄졌습니다.
신문은 이번 사태가 1990년대 초를 떠올린다고 평가했습니다.
동아시아의 가부장적 문화 탓에 오랫동안 경시됐던 일본의 전시 성노예 생존자들의 목소리가 처음으로 전 세계에 울려 퍼지기 시작했던 30년 전으로 시계를 되돌린 듯하다는 겁니다.
국제 역사학자들은 일제히 램지어 교수의 주장이 광범위한 역사적 증거를 무시하고 일본 극우 교과서와 비슷하다면서 논문 철회를 요구하고 있다고 뉴욕타임스는 전했습니다.
논문 내용을 비판하는 경제학자들의 연판장에 1천900명 이상이 서명하고, 하버드대 학생들의 비판 성명에도 수백 명의 재학생이 서명한 사실도 기사에 소개됐습니다.
지난 17일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이용수 할머니가 참가한 하버드대 아시아태평양 법대 학생회 주최 온라인 세미나도 비중 있게 다뤘습니다.
신문은 ″두 세대로 나누어지고, 7천 마일이나 떨어진 학생들과 생존자가 줌에서 만나 광범위하게 반박당한 하버드 교수의 주장을 가르침의 순간으로 바꾸자는 공동의 목표를 논의했다″고 묘사하면서 이 할머니의 이야기를 상세히 전달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