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력 | 2021-10-30 09:30 수정 | 2021-10-30 09:32
<strong style=″font-weight:bold; font-family:initial;″>세계 최대 기후변화 대응 회의 31일 개막</strong>
세계 최대위기인 기후변화에 맞서기 위해 새로운 질서를 모색하고자 제26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 회의(COP26)가 현지시간 31일 영국 그래스고에서 약 200개국 대표단과 기후관련 시민단체, 기업인과 언론인 등 2만 5천명 이상이 모인 가운데 열립니다.
12일까지 개최되는 이번 회의에서 최대 목표는 지구평균 온도 상승폭을 인류 안전 및 생태계 보전이 확보되는 한계선인 1.5℃로 제한하는 것입니다.
그러나 중국과 러시아 정상이 불참하고, 인도 등이 회의적인 반응을 내놓으면서 구체적 성과 도달이 어려울 것이란 전망이 많습니다.
당사국회의, COP은 기후변화 관련 국제사회 최고 의사결정기구로, 1995년부터 매년 개최되고 있으며 지난해 코로나19로 연기돼서 이번이 26번째 당사국회의, 즉 COP26입니다.
<strong style=″font-weight:bold; font-family:initial;″>2015 파리협약이후 가장 큰 관심‥1.5℃사수해야</strong>
COP26은 기후변화 관련 일종의 헌법인 2015년 파리기후변화협정이 나온 COP21 이후 가장 큰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각국은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NDC)를 5년마다 점검해 새롭거나 개선된 목표를 내기로 했는데 이번이 그 첫 시기이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지금까지 각국이 제출한 NDC 수준으로는 지구 온도 상승폭이 1.5℃를 크게 벗어날 것으로 보입니다.
<strong style=″font-weight:bold; font-family:initial;″>이대로라면 지구온도 2.7℃ 상승</strong>
이대로라면 2.7℃ 오른다는 전망을 담은 유엔 보고서에 유엔 사무총장이 천둥 같은 경종이라고 탄식하기도 했습니다.
온난화를 1.5℃로 묶어두려면 2050년 탄소중립(온실가스 순배출량 0)을 달성하고, 2030년까지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2010년 대비 55% 줄여야 합니다
COP26 이후 세계가 1.5℃ 목표에 맞춰 기존의 경제 운용, 투자, 인프라에 관한 관점을 바꾸면 새로운 경제 시스템이 마련되고 새로운 기회가 생길 것이란 전망이 나옵니다.
<strong style=″font-weight:bold; font-family:initial;″>중국·러시아 정상 불참‥기후 리더십 위기봉착</strong>
문재인 대통령과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을 포함해 세계 각국 정상들이 머리를 맞대고 기후변화 대응방안을 논의합니다.
그러나 알록 샤마 COP26 의장은 최근 여러 쟁점으로 인해 파리협정 때보다 뜻을 모으기 어려운 상황이라고 털어놨습니다.
각국이 2050년 탄소중립에 필요한 새로운 NDC를 내놔야 하는데 중국, 러시아, 사우디 등은 2060년 탄소중립 목표이고 인도는 아예 계획을 내지도 않았습니다.
온실가스 배출 1위와 4위인 중국, 러시아 정상이 불참하고 3위인 인도는 탄소중립 목표 설정은 기후변화 해결책이 될 수 없다며 ′부자 국가 책임론′을 내놨습니다.
이런 가운데 미국과 유럽연합(EU)이나 COP26 주최국인 영국이 기후 리더십을 발휘할 수 있을지 관심이 쏠립니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예산안 통과를 위해 사회복지예산을 절반으로 삭감하는 승부수를 띄우면서도 기후예산 5천550억 달러(649조3천억원)는 고수했습니다.
EU는 미국과 함께 최근 화두로 떠오른 메탄감축협약을 주도하고 있습니다.
한국도 최근 2018년 총배출량(대기로 배출된 온실가스 총량) 대비 2030년 순배출량을 40% 감축하기로 발표했습니다
<strong style=″font-weight:bold; font-family:initial;″>개발도상금 재정 지원 기금 마련도 과제</strong>
관건은 선진국들이 기후변화로 피해를 보는 개발도상국 재정 지원을 위한 기후기금 연 1천억달러 약속을 지킬지입니다.
이들은 2009년 코펜하겐 합의를 통해 약속했지만 2019년 기준 796억달러에 그쳤습니다.
지금까지 발표로는 2023년은 돼야 목표에 이를 것으로 보입니다.
이 밖에도 온실가스 국가간 거래 허용에 관한 국제 탄소시장 지침 마련, 전기차 전환 가속화, 신재생에너지 투자 확대, 벌목지원 중단 등에서 합의가 이뤄져야 합니다.
세계 주요국은 우선 30일 개막하는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에서 협의를 시도할 예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