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뉴스데스크
엠빅뉴스
14F
정치
사회
국제
경제
연예
스포츠
뉴스투데이
[뉴스 열어보기] 경찰 문건 수천건 인터넷에 '둥둥'‥수사정보 줄줄 샜다
입력 | 2022-07-06 06:35 수정 | 2022-07-06 06:37
Your browser doesn't support HTML5 video.
◀ 앵커 ▶
‘뉴스 열어보기’ 시작합니다.
◀ 앵커 ▶
오늘은 경찰 문건 수천건이 인터넷에 셀프 유출되어 있었다는 기사 먼저 살펴보겠습니다.
◀ 앵커 ▶
세계일보입니다.
◀ 앵커 ▶
피의자의 개인정보와 체포 및 압수수색 영장 원문 등 경찰의 수사 정보가 1년 5개월 간 인터넷에 공개돼 온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인천경찰청 광역수사대가 ′정보공개포털′ 웹사이트에 지난해 2월부터 ′한시적 현업 동원 명령서′ 수천건을 공개해온 것인데요.
이 문건은 초과근무 승인을 위해 경찰 내부에서 쓰이는 것으로, 동원 장소와 사유가 상세히 기록돼 있는데, 경찰이 수사내용을 ′셀프 유출′하고 있었던 셈입니다.
인천청 광수대 관계자는 ″문서 기안자가 공개 여부를 체크하는 과정에서 실수가 있었다″며 ″해당 문서들을 비공개로 전환하고 수사 감찰을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는데요.
전문가들은 피의자의 동선 등 수사상황과 수사관의 개인 정보가 노출돼 있어 수사 방해나, 이를 악용한 2차 피해가 있을 수 있다며 ″일어나선 안되는 심각한 실수″라고 지적했습니다.
◀ 앵커 ▶
다음은 한겨레입니다.
6·1 지방선거에서 당선된 일부 단체장들이 윤석열 대통령처럼 집무실을 속속 이전하면서 잡음이 불거지고 있습니다.
김명기 강원도 횡성군수와 하은호 경기 군포시장은 소통 행정을 내세워 집무실을 2층에서 1층으로 옮겼다는데요.
횡성군의 경우 집무실 이전에 1억 7천만원이 들어 ′예산 낭비′라는 비판이 나오고 있고, 연쇄 이동으로 민원실이 문을 닫아 민원인들이 불편을 겪고 있다고 합니다.
권기창 안동시장은 집무실 이전 뿐만 아니라 윤 대통령처럼 출근길 약식 기자 회견도 기획했지만 안동시청에는 상주하는 기자들이 없어 계획이 무산됐다고 합니다.
집무실 이전은 원주시와 대구 달성군 등에서 앞으로도 줄을 이을 예정이라고 하는데요.
한 지자체 의원은 집무실이 1층에 있어야만 소통이 되는 것은 아니라며 충분한 검토가 필요하다고 지적했습니다.
◀ 앵커 ▶
이어서 중앙일보입니다.
공직자 대상 세종시 아파트 특별공급에 대한 감사원의 특별공급 감사결과를 다뤘는데요.
감사에 따르면, 장관 관인까지 위조한 등 부적격 당첨자는 116명이었다고 합니다.
실제로 이른바 특공 대상자 확인서를 보면, 정당하게 발급된 문서와 달리 위조된 문서의 뒷면엔 날인이 보이지 않았다고 합니다.
특히 무자격 당첨자 116명 가운데 76명은 실제 계약까지 체결했다고 하는데요.
특공 자격이 없는 정년퇴직자가 확인서를 부당 발급해 아파트를 분양 받거나
한번 당첨된 이후에도 다시 신청해 재당첨 받은 경우도 있다고 합니다.
◀ 앵커 ▶
다음은 한국일보입니다.
방송 드라마 한류 스타들의 갑질 실태를 전하고 있는데요.
일부 스타들의 경우, 촬영 거부는 비일비재하고 대본까지 바꾸려 들거나 스태프나 단역을 크게 하대하는 등 촬영현장이 스타들의 권력남용에 몸살을 앓고 있다고 합니다.
심지어 스타 전용 화장실이 있는 경우도 있고, 연예인에게 직접 말을 걸지 말라고 하는 등 스타와 단역, 스태프들의 관계가 계급제처럼 서열화됐다고 하는데요.
스타들의 이런 갑질은 선을 넘은지 오래로, 업계에선 최근 이슈가 됐던 뮤지컬계의 ′캐스팅 논란′에 ″비판할 수 있는 것도 부럽다는 반응이 나온다″고 신문은 전했습니다.
◀ 앵커 ▶
끝으로, 경향신문입니다.
전남 포스코 광양제철소 인근인 온동마을의 주민들의 몸에서 카드뮴 4배, 수은 2배 등 전국 평균보다 높은 수준의 중금속이 다량 검출됐다는 보도인데요.
국립환경과학원이 작년 5월부터 1년간 온동마을 주민 86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했다고 합니다.
납과 같은 중금속은 깻잎 등 마을농장물에서도 허용기준보다 높은 수치로 검출됐다고 하는데요.
이런 실태는 저희 mbc가 작년 1월, 단독보도를 통해 본격적으로 알려지기 시작한 것으로 환경과학원의 실태조사 결과로 우려는 더욱 커질 것으로 보입니다.
일각에선 광양제철소가 지난 1987년, 온동마을에서 바다 건너 1.5킬로미터 떨어진 곳에 들어선 이후 마을 주민들이 원인 모를 암이나 희귀질환으로 숨졌다는 주장도 나오고 있어 관계당국과 광양제철소 측의 대응이 주목되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뉴스 열어보기′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