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데스크한지은

[현장 36.5] 혈연을 넘어‥"그렇게 가족이 된다"

입력 | 2024-05-25 20:21   수정 | 2024-05-25 20:32

Your browser doesn't support HTML5 video.

◀ 앵커 ▶

친부모가 사정이 생겨 양육할 수 없는 아동을 위해 잠시 동안 가족이 되어주는 가정위탁 제도가 있습니다.

하지만 사회적 인식이 낮아 어려움을 겪을 때가 많다고 하는데요.

가정위탁을 통해 사랑으로 가족이 된 찬민이네를 만나봤습니다.

한지은 영상기자가 다녀왔습니다.

◀ 리포트 ▶

[김찬민/11세]
″안녕하세요~ 찬민이에요! 엄마 아빠 소개해 줄게요. 여기 아빠!″
″네 아빠예요~ 찬민이.″
″여기 엄마~″
″엄마 날씬하게 찍어주세요~″

[정호열/찬민 아빠]
″찬민이는 밝기가 한없이 밝고요.″

″아들~″
″워!″

[정호열/찬민 아빠]
″찬민이가 없었다면 우리 부부는 어떻게 살았을까...“

[이선희/찬민 엄마]
”너무 밝아서 개구쟁이예요.“

[이선희/찬민 엄마]
″가정위탁은 TV를 보고 알았던 것 같아요. 손길이 필요한 아이들이 있으면 좀 돌보고 싶다.”

″이거 기억나? 안나?″

[이선희/찬민 엄마]
″본가정이 있으니까 큰엄마 큰아빠 이렇게 부르라고 했어요. (아이가) 4살인가? ′엄마 아빠라고 부르면 안 돼?′ 이렇게 말하더라고요.″

[정호열/찬민 아빠]
″그때부터 하루하루가 진짜 어떻게 지나갔는지 몰라요.″

이제 5학년이 된 찬민이는 부쩍 하고싶은 게 많아졌습니다.

부모님의 든든한 응원 속에서 찬민이는 마음껏 꿈을 키워나가고 있다는데요.

[정호열/찬민 아빠]
″수영을 한참 가르쳤더니 대회 나가는 곳마다 1등하고 그러네요.″

[김찬민]
″축구는 취미지만 수영은 선수까지 되고 싶다는... 꿈!“

″찬 바람으로 해줄까?″
″응.″

하지만 아직도 위탁가정에 대한 인식이 부족해 겪는 어려움도 많다고 합니다.

[정호열/찬민 아빠]
″찬민이가 어릴 때 노로바이러스가 걸렸었어요, 아기 때. 급히 대학병원을 갔는데 누구냐는 거예요. ‘나는 위탁 가정에 위탁 아빠다.’ 그랬더니 그런 거 말고 부모의 사인을 하라는 거예요. 이해를 못 해요, 위탁이 뭔지. 전혀 그걸 이해를 못하더라고요.″

[이선희/찬민 엄마]
″우리 찬민이 같은 경우 보면 운동을 워낙 좋아하고... 근데 비용이 만만치가 않더라고요. 그런 걸 마음껏 못 해주는 게 미안하기도 하고...“

[유소연/초록우산 경기남부가정위탁지원센터 팀장]
″19세 미만은 보호자의 동의를 받는 항목들이 되게 많잖아요. 그런 부분에서 위탁 부모님들은 계속 막혀요. 가정위탁에 대한 인식이 많이 낮기 때문에 현실적인 지원 체계가 마련되면 좋을 것 같습니다.”

함께 지낸 지 12년, 이들은 가족이 무엇인지 부모가 무엇인지 알게 되었다고 합니다.

[정호열/찬민 아빠]
″가족은 그런 거 같아요. 그냥 이해하고 편이 돼주는 거. 품어주는 거. 누군가는 이 세상에 단 한 사람은 찬민이 편이 되어야 한다는 거. 어떤 경우가 있어도.″

[이선희/찬민 엄마]
″‘엄마 난 너무너무 행복해.’ 그래서 ‘어떤 게 행복해?’하고 물었더니, ‘나는 참 좋은 가족을 만난 것 같아.’ 그 말에 좀 감동받았어요.“

[김찬민]
<엄마 아빠를 생각하면 뭐가 가장 먼저 떠올라요?> ″가족″

[김찬민]
″고맙고 사랑하고. 저를... 사랑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영상취재·구성: 한지은 / AD: 허예지, 강로이 / 영상편집: 조민우 / 디자인: 김양희, 곽정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