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민주시스템과 절차가 승리할 거다″ 이렇게 얘기도 했었는데, 표결 정족수도 못 채우고 끝난 국회 상황을 지켜보니, 많이 우려스럽다는 메시지입니다.
′제대로 작동해야 한다′고 강조했었는데, ′그렇지 않은 것 같다′ 이런 얘기입니다.
◀ 앵커 ▶
관련 당국자들과 접촉을 유지하겠다는 언급도 있던데요.
이거 의례적으로 나온 얘기가 아니죠?
◀ 기자 ▶
그렇습니다.
단순 우려에 그치지 않고, 민주시스템과 절차가 지켜지도록 적절한 메시지를 반복적으로 전달하겠다는 뜻입니다.
그런데 속된 말로 ′그냥 전달해보고 아니면 말고′ 하는 식은 아닐 겁니다.
주권국인 만큼 거칠게 개입할 순 없지만, 민주시스템이란 궤도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좌시하지 않겠다는 경고로 봐야 합니다.
백악관 언급 중엔 ″평화로운 시위는 민주주의의 필수 요소고, 모든 상황에서 존중돼야 한다″는 부분도 있습니다.
표결도 못 한 정치 현실에 대한 ′민의의 분노′가 나오는 게 당연한데 혹시라도 억압해선 안 된다는 신호입니다.
◀ 앵커 ▶
그럼 지금 미국 언론 분위기는 어떻습니까?
◀ 기자 ▶
미국 정부의 표현은 행간을 읽어야 하지만, 언론은 직설적입니다.
워싱턴포스트는 ″국민의힘 의원들이 대통령을 지원하기 위해 단결했다. 윤 대통령의 행동보다 진보 정권의 복귀를 더 우려한 거다″ 이렇게 얘기했고, 월스트리트저널은 한국 전문가의 발언을 소개하며 ″국민의힘이 국가보다 정당을 중시하는 길을 택한 건 최악의 결과″라고 논평했습니다.
그리고 ′2차 계엄′ 선언 가능성에 대한 우려가 나온 것도 주목됩니다.
부시 정부 시절 ′북핵 6자회담′ 차석대표를 지낸 빅터 차가 영국 파이낸셜 타임스에 기고문을 냈는데, ″윤 대통령의 분노와 좌절이 정치적 혼란 속에서 2차 계엄 선언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그가 아무도 예상하지 못한 ′충격적 지시′를 이미 한 번 했었던 만큼, 또 다른 돌발 행동도 배제할 수 없다는 것이고 만약 또 그렇게 한다면, 그때는 정치·경제·안보, 전방위적으로 들이닥칠 ′후폭풍′, 감당하기 어려울 거란 경고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