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투데이

[오늘 아침 신문] "홍수 걱정 없겠네" "물에 마을 잠기나" 기후 대응 댐 후보지 14곳 찬반 갈려

입력 | 2024-08-01 06:33   수정 | 2024-08-01 06:35

Your browser doesn't support HTML5 video.

◀ 앵커 ▶

오늘 아침신문 시작합니다.

◀ 앵커 ▶

환경부가 전국에 건설 예정인 ′기후대응 댐′ 후보지 14곳을 발표하자 지자체 반응이 엇갈리고 있다는 기사 먼저 보겠습니다.

◀ 앵커 ▶

조선일보입니다.

◀ 앵커 ▶

신규 댐 건설 후보지인 충북 단양군과 강원 양구군의 반발은 거센데요.

단양의 경우 1985년 충주댐을 건설해 당시 주민 1만 2천 명이 이주했죠.

단양천에 댐을 지으면 단양 8경 중 3경이 사라져 관광산업이 타격을 입을 거란 우려가 크고요.

심각한 지역 소멸 현상도 가속화할 거란 목소리도 나오고 있습니다.

강원 양구군 수입천에 춘천 의암댐보다 더 큰 댐이 들어설 수 있다는 소식에, 양구군민 일부는 멸종위기종 열목어 서식지인 수입천 상류 두타연이 수몰될 수 있다며 건설 계획 백지화를 요구하고 있습니다.

반면 댐 건설 계획에 환영 목소리를 낸 지자체들은 주로 집중호우로 수해를 입었던 곳이고요.

강원 삼척시의 경우 오히려 댐 규모를 더 키워달라고 요구하고 있다고 신문은 전했습니다.

◀ 앵커 ▶

다음은 서울신문입니다.

서울 은평구 아파트에서 30대 남성이 일본도로 이웃 주민을 살해하는 사건이 발생하면서, 도검 관리를 강화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습니다.

총포 소지자의 경우 3년에 한 번씩 허가서를 갱신해야 하지만, 도검은 이런 의무가 없는 게 문제로 지적되는데요.

칼날 길이 15cm 이상 도검을 소지하려면 정신 질환이나 전과 등 결격 사유가 없어야 하는 규정은 있지만, 운전면허 발급 당시 신체검사 결과를 참고하기 때문에 정신질환 여부를 파악하기 어렵고요.

총포와 달리 도검은 온라인에서 쉽게 살 수 있어 ′장식용′으로 신고한 뒤 날을 세워 흉기로 쓰이는 사례도 반복되고 있습니다.

전국에 도검 소지자가 8만 명에 달하는 만큼 주기적인 소지 허가 갱신과 불법 소지자에 대한 신고, 포상금제가 필요하다고 신문은 강조했습니다.

◀ 앵커 ▶

이어서 세계일보입니다.

구하기 힘든 공연 티켓을 개인 간 거래로 구매하려다 개인정보까지 빼앗기는 사례가 늘고 있다는 기사입니다.

최근 공연기획사들이 암표 거래 등을 막기 위해 인증 절차를 강화하자, 암표 시장에선 구매자의 계정으로 티켓을 옮기는 ′아이디 옮기기′ 사기가 성행하고 있는데요.

아이디와 비밀번호 등 개인정보를 모두 받은 사기범들은 돈만 챙긴 뒤 잠적하고요.

환불해주겠다는 말에 또 속아 중고거래 사이트 등의 계정을 빼앗기는 2차 피해 사례도 속출하고 있습니다.

현재까지 관련 사기 범죄 피해자는 총 5,183명, 피해액은 38억 원에 달하는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 앵커 ▶

다음은 지역 신문 기사 살펴보겠습니다.

먼저 국제신문입니다.

지난해 장마로 썰렁했던 부산지역 해수욕장이 올해 활기를 띠고 있는데요.

무더위가 이어지며 부산지역 해수욕장 관광객은 지난해보다 26% 증가했고요.

해운대 근처 특급 호텔들의 객실 예약률은 평균 90%를 넘기며 만실을 기록했습니다.

특히 송도 해수욕장이 여름 특수를 누리고 있는 걸로 나타났는데요.

송도 해수욕장 이용객은 지난해 7월 37만 명이었지만, 올해 84만 명으로 2배 이상 증가했습니다.

큰 규모의 숙박시설이 문을 열고 최근 외국인 관광객 수가 늘어난 영향이라고 신문은 분석했습니다.

◀ 앵커 ▶

끝으로, 제민일보입니다.

올해 제주도 내국인 관광객은 692만여 명으로 지난해보다 7.2% 줄어들었습니다.

′비계 삼겹살 파동′ 이후 추락한 제주관광 이미지가 좀처럼 회복하지 못하고 있는 건데요.

여행 전문 리서치 기관에 따르면 6월 제주 관심도는 33%로, 비계 삼겹살 파동 이후 부정적인 논란이 잇따라 제주관광에 대한 불신은 커지고 있고요.

이런 가운데 제주공항의 국내선 공급마저 줄어 최대 관광 성수기인 여름 휴가철임에도 관광객이 줄고 있다고 신문은 전했습니다.

지금까지 ′오늘 아침 신문′이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