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옥열/제주 금능 어촌계]
″(해녀님께서는 경력이 얼마나 되세요?) 59년? (59년이세요?) 13살부터 지금 70 넘었거든요? 그러니까‥10년 내에 거의 물건이 없어진다고 봐야죠. (그런데 이제 후배 해녀들도 있잖아요.)″
[양옥열/제주 금능 어촌계]
″(그런데 이제 후배 해녀들도 있잖아요.) 안쓰럽죠. 물건이 없어지면 생활이 어렵거든요.″
[김영아/금능 어촌계]
″(예전에는) 마누라를 찾으려면 똑같이 고무옷을 입으니까. 자기 마누라 못 찾았어요. 그렇게 많아가지고. 2분의 1준 거죠. 200명 가까이 (200명 넘던 해녀분들이 지금은) 73명. (3분의 1이네. 거의.)″
(실제 바다로 나가보니‥)
[양영자/제주 금능 해녀회장]
″보말이 돌 뒤집으면 잔뜩 있었거든요. 옛날에는. 근데 지금은 없어가지고. 물 속에는 더 해요. 아무것도 없어가지고요. 소라도 죽어서 뒤집혀요. 먹을 것이 없으니까.″
[팩트맨]
″국내 기후변화의 최전선에 서 있는 제주 바다, 현재 상황은 어떨까요.″
해변의 해조류가 사라지고, 사막화되는 ′갯녹음′ 현상.
녹색연합이 지난해 제주도 해안 마을 200곳을 조사했는데, 해변에서 해조류가 확인된 곳은 30여 곳에 불과했습니다.
해안선 82%가 바다 사막으로 변했다는 뜻입니다.
바다 생태계의 보고로 불리던 제주 해안이 불과 반세기 만에 갯녹음 말기 상황에 이른 겁니다.
해조류가 사라지니, 바다 근처 전복과 소라 등 어패류는 급속도로 사라지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육지에 있는 양식장과 관광자원들은 이런 변화를 피해 갈 수 있었을까요?
[로드맨3] 양식장 덮친 이상고온
(제주도의 한 양식장 그런데‥)
(부지런히 한쪽으로 옮겨지는 광어들)
[로드맨]
″지금 이곳은 병에 걸린 광어들만 모아놓은 수조인데요. 지금 보면 곳곳에 폐사한 광어들도 눈에 띄고 있습니다.″
[주정훈/제주 양식장 근무]
″고기가 다른 데 비해서 좀 안 좋아가지고. 병이 왔어요. 병이. 어병이. 이런 데가 썩어들어가는 거예요. 양어장에서는 제일 민감한 게 수온이에요. 수온이 높으면 어병이 많이 오죠.″
(빠르게 오르는 해수온도‥′고수온 주의보′도)
[지상일/제주 광어 양식장 대표]
″바닷가 수온이 최근 몇 년 전서부터 25도 이상 유지가 돼요. 전에는 25도가 최고, 수온이었는데 지금은 26, 27도까지 올라가니까. 수온이 높다 보면 용존산소가 떨어져요. 대량폐사가 발생하는 거죠. 여윔병은 점액포자충이라는 충이 생겼어요. 고기가 잘 먹지 않아요. 그리고 잘 먹지 않고 고기들이 탈수증상이 일어나서 대량폐사가 발생하고 있어요.″
(10년간 급격한 변화‥전염병에 대량 폐사)
[지상일/제주 광어 양식장 대표]
″거의 석 달 많게는 넉 달까지 갑니다. 그러면 7월 말에 시작을 해서 지금 11월 말까지 그 폐사가 계속 이어져요. 후유증이 계속 가는 거죠. 많을 때는 (폐사가) 거의 10배 이상 갈 때도 있고요.″
[로드맨4] 백사장 잠식한 ′큰갈파래′
(오염물질을 먹고 ′이상증식′‥사라진 백사장)
[박상률/제주대학교 해양식물생리생태학 교수]
″보시는 것처럼 굉장히 녹조류가 많은데 이 지역은 녹조대발생라는 한종이 이상증식이 펴서 다 죽어버리는 이런 현상들이 벌어지고 있습니다.″
(백사장을 뒤덮은 이상 증식 녹조류 원인은?)
[박상률/제주대학교 해양식물생리생태학 교수]
″다양한 소스의 오염원이 들어오기 때문에 예를 들면 주변에 양식장도 있고. 그전에는 굉장히 깨끗했다고 주민들이 말씀하셨습니다. 최근 10년간 더 급격하게 변하고 있습니다. 약 3배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박상률/제주대학교 해양식물생리생태학 교수]
″말라서 죽으면 황화 수소가 대량으로 유출되게 되고 그게 독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 지역에 사는 생물들은 이 독성에 견딜 수가 없는 거죠. 이미 너무 상태가 안 좋아졌습니다. 최소한 10년에서 20년 동안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합니다. 기후 변화는 사실 우리가 어떻게 늦출 수 있는 방법이. 그런 상태에서 어떻게 적응할 수 있는 지에 대한 연구들이 또 같이 진행돼야 하지 않나.″
부쩍 높아진 해수면 아래로 제주의 해양생태계는 빠르게 훼손되고 있었습니다.
가파르게 깎인 해안선 그리고 하얗게 변한 바닷속 또 사라지고 있는 우리 전통 어족자원은 이제 우리에게 시간이 얼마 남지 않았음을 알려주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