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투데이김상훈

"또 속은 것 같다"‥92세 강제동원 피해자 울분

입력 | 2023-08-30 07:35   수정 | 2023-08-30 09:24

Your browser doesn't support HTML5 video.

◀ 앵커 ▶

일본 기업 강제동원 피해자 가운데, 대법원에서 배상 판결이 확정된 건 단, 15명뿐입니다.

그러면, 다른 피해자들 배상 확정 소식은 왜 아직 없는 걸까요?

20년을 법정 다툼으로 보내고 어느덧 아흔두 살이 된 김정주 할머니를 김상훈 기자가 만나봤습니다.

◀ 리포트 ▶

1945년 초봄 일본행 배에 오른 13살 소녀.

유학 간 언니를 만나는 줄 알았지만, 도착한 곳은 비행기 부품 공장이었습니다.

[김정주 할머니 (지난 2019년)]
″울음이 터져버려 ′엄마엄마′하고… 왜 우리가 여기 왔는지 모르겠다고 막 울고 아리랑 부르고…″

미쓰비시로 끌려간 언니, 후지코시에서 중노동에 시달린 동생.

지난 2000년부터 일흔을 넘긴 자매는, 일본에서 손해배상 소송을 시작했습니다.

[김정주 할머니 (지난 2012년, 도쿄 후지코시 본사)]
″이야기를 하자, 이야기를 하자고‥″

나란히 패소한 자매는 다시 우리 법원 문을 두드렸습니다.

결국 언니 김성주 할머니는, 지난 2018년 대법원에서 1억 원 배상 판결을 받아냈습니다.

하지만, 동생 김정주 할머니는 아직입니다.

일본에서 첫 싸움에 나선 지 20년째, 한국 법원을 찾은 지 10년째입니다.

특히 대법원은 언니 사건과 판박이인데도 4년 반째 재판을 그냥 멈춘 상태입니다.

[김정주 할머니]
″법원에서도 재판을 하라는 말 한마디가 없었습니다. 너무나 억울해서… 우리나라에서 또 배신당한 것 같아요.″

대법원에 4, 5년째 멈춰선 재판은 모두 9건.

강제동원 피해자 50명 중 10명만 살아있습니다.

미쓰비시 피해자 고 양영수 할머니는 지난 5월, 고 김재림 할머니는 지난달 세상을 떠났습니다.

[고 김재림 할머니 (지난 2015년)]
″진짜 너무나 억울하고 분하고 그러지 않습니까.″

대법원에 물어보니, 재판이 진행 중이라는 입장만 반복했습니다.

이균용 신임 대법원장 후보자는 ″청문회에서 입장을 밝히겠다″고만 답했습니다.

MBC뉴스 김상훈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