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데스크김윤미

[통일전망대] 북한의 새 영화 MZ세대 겨냥?

입력 | 2024-01-27 20:25   수정 | 2024-01-27 20:46

Your browser doesn't support HTML5 video.

◀ 앵커 ▶

북한의 영화제작은 김정은 집권 후 크게 축소됐었는데요.

6년여 만에 새로 만들어진 극영화가 얼마 전 텔레비전에 방영됐습니다.

화려한 편집에 반전 요소까지 더해져 미디어에 익숙한 젊은 세대를 겨냥했다는데요.

북한이 오랜만에 영화를 내놓은 의도가 뭔지 통일전망대 김윤미 기자가 살펴봤습니다.

◀ 리포트 ▶

″사령관 동지, 생강차입니다.″
″고마와″

고위 간부의 집으로 전출 명령을 받은 간호사는 곧 당을 배신하려는 간부의 음모를 알게 되고,

″수상을 제거하는 거요.″

이를 폭로하기 위한 목숨을 건 여정을 떠납니다.

이달 초 북한 조선중앙TV에 방영된 영화 ′하루낮 하루밤′은 1958년 고위 간부의 배신을 김일성에게 알린 실존인물 라명희의 이야기를 담고 있습니다.

연평균 10편 남짓의 영화가 제작됐던 김정일 시대와 달리, 김정은 집권 후 북한의 영화제작은 크게 축소됐습니다.

예술영화라 부르는 이런 극영화는 6년여 동안 새로 나오지 않다가 2022년 제작돼 이번에 TV에 방영됐습니다.

[전영선/건국대 통일인문학연구단 교수]
″먹고 사는 문제가 제일 중요하기 때문에 경제를 살려야 하는 거고 내부적인 불만도 좀 있었대요. 노래하고 춤추는 게 우리한테 뭔 도움을 줬냐.″

이 영화는 요즘 스타일에 맞게 감각적인 편집과 빠른 흐름, 반전에 반전을 더하는 장르적 구성까지 더했습니다.

″왜, 내가 살아 있는 게 안 믿어져?″

한류 콘텐츠 등을 접한 북한 MZ세대의 눈높이에 맞추기 위한 노력으로 풀이됩니다.

지난해 선보인 북한 주말연속극도 격렬한 총격전과 컴퓨터 그래픽 기법을 활용한 비행기 폭파 장면 등이 눈길을 끌었습니다.

북한이 다시 영화를 내놓는 건 북한에선 영화야말로 ′감화력과 파급력이 큰 사상교양 수단′이기 때문입니다.

[조선중앙TV/2022년 3월]
″새 시대의 요구에 맞는 명작들을 많이 창작하여 온 나라를 혁명열, 투쟁열로 들끓게 할 데 대한 문제들을…″

제재가 지속되고 긴장이 고조되는 상황에서 내부 결속의 필요성은 더 커졌고 이른바 당성을 강조하는 경향도 더 두드러지고 있습니다.

[이지순/통일연구원 연구위원]
″더 강력해졌죠. 항상 북한의 논리가 과거로부터 북한이 억압받아왔던 적을 소환하는 거죠. 외부의 적들, 북한 사회를 이완시키는 돈 있는 자들…″

그러다 보니 북한 영화는 형식은 새로워졌지만 내용은 여전히 수령을 옹위하고 사회주의 제도를 지키라는 과거 유훈을 답습하고 있다는 분석입니다.

[북한 영화 <하루낮 하루밤>]
″공화국이 나 같은 고아한테도 집을 주고 학교에도 보내줬어.″

결국 북한의 새 영화는 경제난에 지친 주민들을 달래기 위한 당근이면서도 주민들의 사상 이완을 단속하기 위한 산물이라는 한계를 지니고 있습니다.

MBC뉴스 김윤미입니다.

영상취재: 이원석 / 영상편집: 김진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