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데스크유서영

[단독] "의대생 97%가 휴학계 제출"‥이대로면 내년 '콩나물 교실' 불 보듯

입력 | 2024-04-29 20:03   수정 | 2024-04-30 07:02

Your browser doesn't support HTML5 video.

◀ 앵커 ▶

정부와 의사협회의 갈등이 계속되고 있는 상황에서, 학교를 떠난 의대생들도 여전히 돌아오지 않고 있습니다.

정부는 그동안 절차를 지킨 휴학 신청이 절반 정도에 그치고 있다고 발표해 왔는데, 의대생들이 자체적으로 조사를 해봤더니 97%에 달하는 학생들이 휴학계를 제출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정부는 집단 유급은 없을 거라고 했지만, 학생들은 돌아올 기미가 없어서 ′집단 유급′ 가능성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유서영 기자가 전하겠습니다.

◀ 리포트 ▶

의대 증원 전면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 학생협회는 현재 휴학계를 낸 의대생 규모를 총 1만 5천216명으로 파악하고 있습니다.

휴학이 불가능한 예과 1학년을 제외하면 전체 의대생의 97%에 해당하는 수치입니다.

그러나 교육당국은, 이른바 ′형식적 요건′을 갖춘 1만 626명만 휴학으로 인정하고 있습니다.

[노정훈/의대생협회 공동비대위원장]
″휴학 신청 절차를 변칙적으로 변경할 뿐만 아니라 휴학 수리 자체도 압박하고 있는 현 상황에서, 교육부가 발표 수치를 자의적으로 변용하고 있는 것은 아닌지…본질적인 유급 방지책은 정책의 당사자인 학생들의 의견을 경청하는 것입니다.″

전국의 의대생들이 대부분 두 달 넘게 수업을 거부하고 있지만 정부는 ′집단 유급은 없을 거′라고 장담합니다.

[박민수/보건복지부 2차관]
″일부 학교에서 또 수업을 재개하지 않았습니까? 학생들이 일부 또 수업을 듣고 있고요.″

하지만 유급 현실화에 대한 우려는 커지고 있습니다.

40개 의대 가운데 8곳이 여전히 개강을 못 하고 있고 성균관대와 울산대는 예정됐던 개강을 또다시 미뤘습니다.

[성균관대 관계자 (음성변조)]
″개강일은 (5월) 13일로 연기가 됐고, 저희로서는 좀 마지막이라고 생각…″

여기에 휴학 통계에 잡히지 않는 예과 1학년생들은 문제가 더 심각합니다.

[비수도권 지역 대학 관계자 (음성변조)]
″(신입생들이) 교양 수업도 안 듣겠다고 결의한 것 같고, 학생들이 수업을 이대로 계속 빠져버리면 (학점이) F가 나가기 때문에…″

학점 미이수로 이들마저 유급 처리되면 내년 1학년 의대 강의실에선, 현 정원 3천58명에서 증원된 입학생들뿐 아니라, 올해 유급된 인원까지 함께 수업을 받아야 합니다.

경북대와 경상국립대, 강원대 등 국립대 5곳이 증원 인원을 절반으로 줄이기로 한 가운데 내년도 의대 정원 제출 시한은 내일로 다가왔습니다.

MBC뉴스 유서영입니다.

영상취재: 신규호 (대전) / 영상제공: 강원대 의대 교수회 / 영상편집: 안윤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