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데스크오해정

[집중취재M] "싸게 파느니 태워버려"…가격 올리고 안 팔리면 소각

입력 | 2021-05-04 20:48   수정 | 2021-05-06 14:45

Your browser doesn't support HTML5 video.

◀ 앵커 ▶

샤넬, 에르메스, 루이비통.

명품 브랜드들 가운데에도 가장 비싼 초고가 브랜드 들이죠.

가방 한 개가 천만 원이 넘는데도, 없어서 못 살만큼 품귀 현상이 벌어지고 있습니다.

이 명품 브랜드들의 가격에 감춰진 비밀을 오해정 기자가 집중 취재 했습니다.

◀ 리포트 ▶

백화점 문을 열기도 전에 명품을 사려고 선 긴 줄.

오픈런이라고 부르는, 익숙한 풍경입니다.

[명품 구매 희망자 A]
(처음 나오신 거예요? 오픈런은?)
″오늘 세 번째. 돈은 있는데 사기가 어려워서 그건 좀 힘든 것 같아요.″

[명품 구매 희망자 B]
″잠실 그 쪽에 사는데 그쪽 갔다가 계속 안 돼서 여기(명동) 와본 거예요.″
(몇 번째세요? 오픈런이?)
″꽤 됐죠.″

명품이라고 다 같은 명품은 아닙니다.

고가 명품일수록 지난해 매출이 높았습니다.

루이비통의 매출이 지난해 처음으로 1조를 넘었고, 샤넬과 에르메스의 매출도 각각 9천억과 4천억이 넘었습니다.

반면 가격이 비교적 저렴해 입문용 명품으로 불리는 토즈와 페라가모는 지난해 매출이 줄고 적자를 기록했습니다.

명품들은 왜 비쌀수록 잘 팔릴까?

여기에는 교묘한 마케팅 전략이 숨어 있습니다.

6년 전 1천5백만 원대였던 에르메스 버킨백.

지금은 3천만 원이 넘습니다.

4년 전 7백만 원대였던 샤넬 클래식 라지 핸드백.

지난해 1천만 원을 돌파했습니다.

똑같은 제품인데 1년에 두 세 번씩 가격을 올립니다.

루이비통은 올해 넉 달 동안 벌써 4번 가격을 올렸습니다.

이런 가격 인상은 마케팅 기법입니다.

지금 안 사면 손해라고 소비자들을 유혹합니다.

제품이 언제 들어오는지, 어느 매장에 있는지도 모두 비밀에 부칩니다.

[명품 구매 희망자 C]
″샤넬이 여자들 ′워너비백′이어서 저도 괜히 심리상 갖고 싶고. 오늘이 제일 싸다고…″

세일은 일부 VIP 고객에게만 합니다.

재고를 할인하는 아울렛도 없습니다.

[이은희/인하대 소비자학과 교수]
″소비자로 하여금 지금 사지 않으면 그 물건을 살 수 없게끔 그래서 초조한 마음을 불러일으켜서 소비자들이 줄을 서게 만드는 것이거든요.″

팔지 못하고 남은 제품은 아예 소각해버리기도 합니다.

업계에서는 루이비통과 에르메스가 재고를 소각하는 이른바 ′재고 파괴′를 한다는 게 공공연한 비밀입니다.

[소각전문업체 관계자]
″소각합니다. 그것이 핸드백이 될 수도 있고 옷이 될 수도 있고 그렇습니다. 거의 에르메스 하거든요. 요청이 들어오면 해주고 그렇습니다.″

이렇게 소각하면 회계상 손실로 처리하고 세금도 아낀다고 합니다.

살 수 있는 양도 제한합니다.

샤넬은 한 사람이 한 달에 살 수 있는 게, 가방은 한 개, 지갑은 3개까지로 정해놨습니다.

이렇다 보니 전문업자들은 시간당 1만 원을 주고 알바생까지 써서 명품을 사재기합니다.

[명품 재판매 업자]
″아르바이트생을 안 쓸 수가 없죠. 한 달에 (명품) 3개 받아서 어떻게 먹고 삽니까. 심부름센터 어플도 쓰고요. XX마켓 같은데 보면 구인도 있잖아요.″

코로나19가 덮친 2020년 한 해, 전세계 명품 매출은 19%나 줄었지만, 한국만 예외였습니다.

15조 원 어치가 팔려, 독일을 제치고 세계 7위에 올랐습니다.

특히 20대와 30대의 명품 쇼핑이 무섭습니다.

백화점 명품 매출의 절반을 2~30대 젊은이들이 올려줬습니다.

2~30대는 왜 명품을 살까요?

이들을 만나봤습니다.

패션 유튜버 하빠 씨.

사무실 한 쪽이 명품 운동화들로 가득 차있습니다.

여성용 핸드백, 옷과 모자, 열쇠고리까지 싹 다 명품입니다.

[하빠/패션 유튜버]
″명품의 가치는 변하지 않아서 명품을 더 선택하는 것 같아요. 제가 입고 신고 착용을 하다가 질리는 제품들은 이제 중고거래를 하는 거예요.″

2, 30대들에게 중고거래는 하나의 문화입니다.

명품 옷이나 신발도 사서 쓰다가 되팝니다.

중고거래 앱 이용자 수는 1년만에 2.5배나 늘었습니다.

인기 제품은 중고 가격이 오히려 정가보다 비쌉니다.

비싸도 일단 살 수 있으면 사는 게 이익인 셈입니다.

[이준영/상명대학교 경제금융학부 교수]
″무엇보다 투자 환경 자체가 디지털화되고 있기 때문에 디지털 네이티브로서 이런 MZ세대의 성향 자체가 훨씬 더 이런 투자에 적극적인 모습으로 표출되게 됐다 이렇게 볼 수 있겠습니다.″

아예 처음부터 재테크 목적으로 명품을 사들이기도 합니다.

대학생 김재돈 씨.

매달 한정판 운동화 추첨에 응모합니다.

당첨되면 정가에 사서, 비싸게 되팝니다.

10만 원에 산 운동화를 120만 원에 되판 적도 있습니다.

[김재돈/대학생]
″명품같은 경우에는 진짜 좀 수익이 많이 크기도 하고 몇 배씩 벌다보니까 개인적으로는 좋죠. 많이 벌면.″

[진욱/대학생]
″저희가 뭐 부동산을 할 수 있는 것도 아니고. 주식이라고 해봤자 엄청난 우량주들은 일단 비싸서 못사고. 그런데 신발은 좋은 투자처인 것같아요.″

돈 될만한 건 뭐든 투자 대상으로 바꿔버리는 시대.

2-30대들에게 오히려 명품은 접근 가능한 투자처입니다.

MBC뉴스 오해정입니다.

(영상취재: 이준하 / 영상편집: 유다혜)

MBC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02-784-4000
▷ 이메일 mbcjebo@mbc.co.kr
▷ 카카오톡 @mbc제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