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고은상

저축은행 8년 만에 적자 사태‥'PF 태풍'에 금융권도 '휘청'

입력 | 2024-03-22 17:41   수정 | 2024-03-22 17:41

Your browser doesn't support HTML5 video.

국내 저축은행 업계가 지난해 5,500억 원대 적자를 기록했습니다.

2015년 이후 8년 만의 적자 전환으로, 고금리 후폭풍과 부동산 PF 부실이 주요 원인으로 지목됩니다.

금융감독원의 ′2023년 저축은행 잠정 영업실적′에 따르면 국내 79개 저축은행의 당기순이익이 전년 1조 5622억 원보다 2조 1천억 원 넘게 감소하며 5,559억 원의 당기순손실을 기록했습니다.

이자이익은 줄어든 반면 비용은 크게 늘었기 때문입니다.

특히 PF대출과 가계대출 부실 우려가 커짐에 따라, 대출 회수를 못 할 때를 대비해 미리 쌓아두는 ′대손충당금′이 대폭 늘어나면서 순이익이 크게 줄어들었습니다.

지난해 저축은행들의 대손충당금 전입액은 3조 8731억 원으로 전년보다 1조 3천억 원, 50% 넘게 급증했습니다.

부동산 PF 부실에 대비해 대손충당금을 충분히 쌓으라는 금융당국의 경고 영향인데, 저축은행 입장에서는 그만큼 부실한 부동산 대출이 많았다는 뜻입니다.

연체율도 크게 뛰었습니다.

작년 말 저축은행 업계 연체율은 6.55%로, 3.41%였던 1년 전보다 두 배 가까이 올랐습니다.

저축은행중앙회는 ″저축은행은 경기침체 시 가장 먼저 타격을 받는 취약계층인 서민과 중·소상공인을 주거래 대상으로 하고 있고, 최근 부동산 경기 침체 등도 겹쳤다″며 적자 이유를 설명했습니다.

저축은행만의 문제도 아닙니다.

1금융권이라 할 수 있는 시중은행의 작년 4분기 신규 부실채권 규모 역시 5년 만의 최대 수준으로 치솟았습니다.

금감원에 따르면 이 시기 국내 은행들의 신규 부실채권은 5조 7천억 원으로 2018년 4분기 이후 최대치를 기록했는데, 특히 기업대출에서 발생한 부실채권이 전 분기 대비 1조 3천억 원이나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고금리와 고물가 장기화에 따라 중소기업이 대출 상환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점이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습니다.

금융당국은 금융권 부실 문제와 관련해 충분히 관리 가능한 수준이라고 선을 긋고 있습니다.

최근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은 이른바 ′4월 위기설′과 관련해 ″세간의 우려가 과도하며, 금융권으로 부실이 전이되거나 시스템 리스크로 번질 가능성은 매우 낮다″고 강조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