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데스크양효걸

[거리의 경제] 7편 내 월급 빼고 다 오르는 이유 / '스태그플레이션' 완벽정리

입력 | 2021-07-03 20:25   수정 | 2021-07-03 20:27

Your browser doesn't support HTML5 video.

최근 공사를 멈추고 문을 닫는 공사 현장들이 속속 늘고 있다고 하는데요.

공사를 하고 싶어도, 자재를 구하기 어렵기 때문이라는데요.

이렇게 공사 현장이 어려움을 겪으면 관련 산업뿐 아니라, 우리들의 살림살이도 나빠질 수 있다는 사실, 알고 계십니까.

왜 그런 건지 현장으로 한 번 가보겠습니다.

[현장1] ″자재 구하기 ′발 동동′ 너무 비싸요″

1. [대구] 공사 멈춘 지하철 공사 현장

저는 지금 대구 시내에 한 지하철역 공사 현장에 나와 있는데요.

(4년째 끝나지 않는 지하철 출입구 건설공사)
(늘어난 공사 기간에 민원도 속출 )

[이홍규 / 시민]
불편하죠. 샛길같이 작게 해놔서 이리 돌리고 저리 돌리고 하니. 어떨 때는 공사한다고 막아버리고.

(Q. 공사가 늦어지는 이유는? )

[하호창 / 공사현장 팀장]
일주일 안에 다 쳐야 되는데 레미콘이 안 되니까 자꾸 미뤄지는 거예요. 작업이 지역민들은 빨리 안 한다고 뭐라 하시겠지만 (철근은) 돈을 들고 가도 못 구해요. 배로 올랐거든요.

2. [영월] 시멘트는 할당제로 판매

(줄 서 있는 레미콘들, 시멘트 부족에 할당 판매 중 )

[손용학 / 레미콘 기사 ]
그 전 같은 경우에는 아무 때나 와서 실었거든요. 지금은 그게 그렇게 안 돼요. 3분의 1은 줄었다고 봐야죠.

(조금씩 나눠서 팔 수밖에 없는 이유는? )

[ 이원직 / 쌍용시멘트 운영실장 ]
재고가 거의 없는 실정입니다. 통상 재고가 4만에서 5만 톤 정도 필요한데 지금은 만 톤 정도…가격의 문제죠

[전량 수입 의존하는 유연탄 가격 2배 상승]

(이렇게 할당해서 판 경우가 있었습니까? 어떻습니까?) 80년대 시멘트 파동 날 때 이후에는 없었습니다.

[시멘트 가격 7월부터 5.1% 인상 / 철근 가격 (3월 초 톤당 77만 원 → 6월 136만 원)]

이렇게 수요는 있는데, 원자재 등 물건 공급이 달려 생산이 늘지 못하는 현상을 ′부정적 공급 충격(negative Supply Shock)′ 이라고 합니다.

이런 공급 충격이 장기화 되면 관련 업종 뿐 아니라 경제와 사회 전반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실제로 우리는 몇 십년 전에 이미 이런 경험을 했었습니다.

[아카이브] 오일쇼크 막전 막후

1970년대 후반 모습입니다. 잇따른 중동 전쟁으로 산유국들이 석유 생산을 줄이면서 비상사태가 시작됐습니다. 석유파동 이른바 ‘오일 쇼크’였습니다.

[ 1차 파동에 이어, 2차 파동에 전 세계 경제가 휘청 ]

에너지 절약을 위해 역마차 등장
에너지 단속까지

[ 1979년 5월 11일 / MBC 절약현장 ]
회사 근처에서 점심을 먹으면은 위신에 뭐 큰 흠이라도 가는지, 갈비 한 대 두 대를 먹기 위해서 기름을 천 원어치씩이나 쓰고. 어디까지나 자칭 고급 입이라 하겠습니다.

석유 부족은 당장 공장 가동에 영향을 미쳤습니다. 가뜩이나 소득은 줄고 있는데, 물가는 폭등했습니다. 하루 하루 힘들게 사는 서민들에겐 직격탄이었습니다.

[ 1981년 6월 2일 뉴스데스크 ]
″월급은 작년에 비해서 오른 것도 아니고요. 물가는 작년에 비해서 엄청나게 오르고…″
″결혼 두 달 됐는데 노력을 해본 결과 저축이 2만 원 됐어요. 참 어려워요.″

결국 오일쇼크는 기름 아껴쓰기로 시작 돼, 중산층 몰락으로까지 이어졌습니다.

공급 충격은 처음에는 관련 산업 분야에만 영향을 미치지만 나중에는 산업 전반의 소득을 줄이고 물가마저 끌어올리는 최악의 상황으로까지 이어질 수 있는데요. 왜 그런 걸까요.

[현장2 - 주유소 ]

이곳은 서울 시내 한 주유소인데요. 휘발유 값 한번 살펴볼까요.

자 이렇게 물건값이 오르면. 물건을 더 적게 사겠죠? 따라서 수요는 물가가 오르면 오를수록 점점 줄어들게 됩니다.

반대로 기업 입장에서는 물건값 오르면 더 많이 팔기 위해서 더 많이 생산하겠죠. 따라서 공급은 물가가 오르면 오를수록 점점점 늘어나게 됩니다.

이 두 직선을 합쳐보면 가운데 만나는 지점이 보이시나요. 한 나라의 물가와 소득은 이렇게 수요와 공급이 만나는 점에서 결정됩니다.

그렇다면 수요가 늘고 경기가 좋아지면 어떤 일이 벌어질까요. (CG④ In) 수요가 느니까 수요 곡선을 한 번 이동해볼까요. 수요 곡선이 이동하면 소득도 늘고, 물가도 따라서 올라가게 됩니다.

시중에 돈이 풀리면서 소비가 늘어나는 게 바로 이 때문인데요.

각국 정부가 재난 지원금 등을 풀어서 정부 재정을 풀려고 하는 것도 바로 이 때문입니다.

그렇다면 앞서 살펴본 공급 충격이 오면 어떻게 될까요.

공급 충격으로 공급 곡선이 밀리면 소득은 주는데 물가도 오르게 됩니다. 내 월급만 빼고 다 올랐다. 이 현상이 실제로 일어날 수 있는 겁니다.

이렇게 물가는 오르는데 경기 침체에 빠지는 경우, 물가 상승을 뜻하는 ‘인플레이션’과 침체를 의미하는 ‘스태그네이션’을 합쳐 ‘스태그플레이션(stagflation)’이라고 하는데요.

나쁜 공급 충격이 일어날 때, 발생할 수 있습니다.

[6월 소비자 물가 상승률 2.4% 올라…9년여만에 최고 (통계청)]

물론, 당장 스태그플레이션에 진입했다고 보긴 어렵습니다. 백신 보급이 늘면서 수요도 회복 되고 있고, 기업이 경영을 잘해 이익을 계속 내면, 충격에 버틸 힘이 생길 수 있습니다.

하지만 최근 공급 충격은 그 분야를 가리지 않고 있습니다. 철강과 시멘트뿐 아니라 목재와 석유 구리까지 각종 원자재 가격이 급등하고 있죠.

미중간 무역 전쟁으로 산업의 쌀로 불리는 반도체 품귀 현상까지 벌어지고 있죠. 이 때문에 자동차 생산도 어렵습니다.

[2021년 6월14일 “현대차 앨라배마 공장, 반도체 부족으로 이번주 가동 중단”]

이 때문에 이 차 같은 경우에는 지금 주문을 해도 길게는 6개월 뒤에나 받을 수 있습니다.

이렇게 공급은 막혔는데, 물가는 오르고. 일자리는 기대했던 것보다 크게 늘지 않다 보니,

주요 경제학자들과 투자은행에서도 ‘스태그플레이션’에 대한 경고음을 내기 시작했습니다.

[BNP Paribas “미국 스태그플레이션 발생 가능성” ( 2021년 6월 10일 )]

[ 미국 증권산업금융시장협회(SIFMA) 조사 “응답자 87% ‘스태그플레이션이 경제 가장 큰 위험’” ( 2021년 6월 ) ]

[ 성태윤 / 연세대 경제학부 교수 ]
″경기가 충분히 회복되지 않은 경우에 대규모 재정정책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물가상승을 가속화 시켜서 오히려 국민들의 체감 생활고가 악화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자동차를 사면 몇 달 뒤에나 받고 공사장은 멈춰버린 상황. 당장 차 살 일 없고 집 살 일 없으니, 내 문제는 아니다 이렇게 생각하는 분 계실 텐데요.

하지만 이런 공급 충격이 길어지면 우리 전체 소득과 물가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내 월급만 빼고 다 오른다, 이 말의 단서를 멈춰버린 공사장에서 찾을 수 있었던 이유, 바로 여기에 있습니다.

이 모든 것이 우리가 이미 한 번 겪었던 스태그플레이션의 서늘한 전조일 수 있기 때문입니다.

거리의 경제였습니다.

MBC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02-784-4000
▷ 이메일 mbcjebo@mbc.co.kr
▷ 카카오톡 @mbc제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