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데스크차주혁

[단독] 김용균 씨 사고 넉 달 전 이미 예견‥묵살된 현장보고서

입력 | 2021-12-09 20:19   수정 | 2021-12-09 20:23

Your browser doesn't support HTML5 video.

◀ 앵커 ▶

청년, 김용균 씨가 석탄 운반용 컨베이어 벨트에 끼어 숨진 지 내일로 꼭 3년입니다.

그의 죽음이 결국 사람 탓이라는 증거가 또 나왔습니다.

김 씨의 사고를 예견하듯 공장의 안전 실태에 문제가 있다고 지적한 보고서가 사고 넉달 전에 나왔습니다.

현장 노동자들이 직접 만든 보고서였지만 그냥 묵살 됐습니다.

차주혁 기자의 단독 보도입니다.

◀ 리포트 ▶

굉음을 내며 돌아가는 컨베이어 벨트.

사방에 석탄가루가 휘날립니다.

카메라를 닦으려다 실수로 자기 얼굴을 찍은 이 청년.

24살 비정규직 김용균 씨입니다.

두 달 뒤 김씨는 사고를 당했습니다.

어두컴컴한 발전소 안에서 김씨는 혼자 일했습니다.

안전 덮개가 없는 설비에 몸을 집어넣어야 했고, 컨베이어 벨트를 휴대전화 조명으로 비추면서 일했습니다.

김씨가 사망하기 넉 달 전, 회사 동료들이 작성한 보고서입니다.

태안과 비슷한 영흥화력발전소에서 하청업체 노동자들이 직접 안전 실태를 점검했습니다.

조명등과 안전덮개가 없다.

상체를 넣은 채로 작업해야 한다.

회전체 접촉으로 사고 위험이 높다.

특히 컨베이어 벨트를 점검할 때 말림과 협착으로 중대재해 위험성이 높다고 두 번이나 강조했습니다.

김용균씨의 사고를 이미 넉달 전에 경고한 겁니다.

하지만 이 보고서는 그대로 묵살됐습니다.

하청업체는 원청업체가 두려워서 전달도 하지 않았다고 합니다.

[신대원 / 한국발전기술(하청업체) 노조위원장]
″하도 하도 개선이 안 되다 보니까, 우리가 한번 직접 찾아서 한번 줘보자. 심지어 ′원청에 공문이라도 한 장 보내라, 나중에 어떻게 하려고 그러냐′ 그것도 원청의 보복이 두려워서 못하겠다고 한 게 바로 하청회사였습니다.″

고용노동부는 김용균씨 사고가 터지고 나서야 뒤늦게 석탄화력발전소 13곳을 전수조사했습니다.

김씨가 일하던 태안화력발전소 한 곳에서만 1,029건이 적발됐습니다.

하지만 474건이 적발된 영흥발전소를 제외하면 나머지 11곳은 한 곳당 평균 56건에 불과합니다.

고용노동부는 사고가 터진 태안발전소에는 대규모 인력을 투입해 한 달 동안 특별 점검을 했지만, 나머지는 소규모 인력이 2주 동안 점검했다고 밝혔습니다.

기간도 짧고, 인원도 적다 보니 현장보다는 서류 중심으로 조사한 겁니다.

[신대원 / 한국발전기술(하청업체) 노조위원장]
″고용노동부 보지를 못했대요. 그날 자기가 있었는데 서류만 보고 갔대요. 이게 다였어요. 현장 안 왔다.″

김용균씨가 숨진 뒤에도 3명의 노동자들이 화력발전소에서 일하다 사고로 숨졌습니다.

MBC뉴스 차주혁입니다.

영상취재: 한재훈 남현택 / 영상편집: 이지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