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데스크김성국

"어딘지 알아야 대피를 하지"‥방독면은 어디에?

입력 | 2023-06-11 20:13   수정 | 2023-06-11 20:24

Your browser doesn't support HTML5 video.

◀ 앵커 ▶

최근 북한이 위성을 실은 발사체를 서해 먼바다로 발사했을 때, 서울시에서는 대피할 곳도 알려주지 않은 채 무작정 대피하라는 경계경보 문자를 발송해 큰 비판이 일었었죠.

그렇다면 실제로 위급 상황이 닥쳤을 때 국민이 가야 하는 대피소들은 제대로 관리가 되고 있을까요?

김성국 기자가 현장 취재했습니다.

◀ 리포트 ▶

900여 가구가 살고 있는 한 아파트.

이곳은 정부가 지정한 민방위 대피소지만 이렇게 자물쇠가 잠겨있습니다.

대피소 안내문도 없습니다.

관계자 외 출입금지 문구만 붙어 있다 보니 주민들도 이곳이 대피소라는 사실을 모릅니다.

[주민]
″<여기가 대피소였던 건지 아셨어요?> 그걸 몰랐어요. 지금까지도 몰랐는데..″

각 동마다 있는 지하실은 최대 9천9백여 명까지 수용 가능합니다.

평상시에는 관리 등의 이유로 대부분 문을 잠가놓다 보니, 실제 공습·전쟁 상황이 생기면 주민들은 관리자가 문을 열어주기를 기다려야만 합니다.

[주민]
″지금 뭐 늘 북한에서 핵을 쏘느니 미사일을 쏘느니 그러는데 주민들은 그런 거 알고 있어야지. 언제 어느 때 발생할지 모르잖아요.″

지정 대피소지만 구호 물품도 전혀 없습니다.

행정안전부가 내놓은 민방위 업무 지침상, 건물 지하시설과 지하철 등 공공용 대피시설은 일시적인 대피 용도라 응급·비상용품은 권장사항일 뿐입니다.

대표적인 대피소인 지하철도 허술하긴 마찬가지입니다.

만 명이 넘는 시민들이 대피할 수 있는 이곳에 방독면은 다섯 개밖에 없습니다.

이 방독면은 비상 상황에서 시민들을 안내하고 통제하는 역무원용입니다.

독가스와 세균, 바이러스 등을 이용해 공격하는 화생방전이 벌어질 경우, 시민들은 속수무책으로 당할 수밖에 없습니다.

[대전도시철도 관계자]
″해마다 (방독면) 예산은 올리죠. 이거 이거 필요하다고 예산 올려도, 예산 자체가 반영이 되지 않으니까. 저희는 현실적으로 불가능하고..″

방독면 등 그나마 장비가 갖춰진 민방위 교육장도 구급약품은 전혀 비치돼 있지 않습니다.

[민방위 관계자]
″이게(구급약품) 구비를 해놓으면 계속 이제 주기(유통기한)가 짧다 보니까..″

내 주변 대피소는 국민재난안전포털 홈페이지나 휴대전화에서 행정안전부의 안전디딤돌 앱 등에서 검색할 수 있습니다.

MBC뉴스 김성국입니다.

영상취재: 신규호/대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