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투데이손구민

'대장동·성남FC' 쟁점은?‥건건이 정반대 해석

입력 | 2023-02-17 06:07   수정 | 2023-02-17 06:07

Your browser doesn't support HTML5 video.

◀ 앵커 ▶

같은 사실을 두고 검찰과 이재명 대표는 전혀 다른 해석을 내놓고 있습니다.

앞으로 구속 여부나 재판 과정에서 어떤게 쟁점이 될지, 손구민 기자가 정리했습니다.

◀ 리포트 ▶

검찰과 이재명 대표의 입장이 가장 극명하게 갈리는 첫번째 지점은, 바로 대장동 사업에 대한 평가입니다.

검찰은 성남시가 개발이익의 70%인 6천 7백억여원은 충분히 챙길 수 있었는데, 이 대표가 1천 8백억여원만 받겠다고 못박아 5천억원 가까이 손해봤다고 보고 있습니다.

더 받을 수 있는데 책임을 방기했다는 겁니다.

이 대표 입장은 정반대입니다.

[이재명/더불어민주당 대표 (2021년 10월)]
″대규모 공공환수 사례는, 그 자체는 꼭 인정받아야 된다고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공단 공원화 비용 2천 7백억원, 서판교터널 비용 920억을 민간업자에게 추가 부담해, 개발이익을 환수했다는 겁니다.

성남도시개발공사 몫을 고정한 건, 부동산 시장이 급변할 수 있어, 위험 부담을 줄이려 한 것이라고 반박해 왔습니다.

검찰은 위례신도시와 대장동 개발 당시, 유동규 전 본부장을 통해 민간업자에게 정보를 흘려 이익을 몰아줬다고 보고 있지만, 이 대표는 ″유 전 본부장이 자기 범죄를 시장에게 보고했겠냐″고 반문하고 있습니다.

기업들이 낸 성남FC 후원금 성격도 양쪽 해석은 전혀 다릅니다.

검찰은 네이버와 두산건설의 부지 용도변경 등 관내 기업들의 민원 해결과, 후원금이 대가 관계라고 보고 있습니다.

이 대표는 성남시는 기업들 민원을 처리했고, 성남FC는 후원금을 모금했을 뿐, 둘을 연결시키는 건 무리라고 반박합니다.

최종적으로 핵심 질문은 그래서 이재명 대표가 뭘 챙겼냐는 겁니다.

검찰은 ′428억원 약정설′과 불법 정치자금의 사용처는 추가 수사하고 있습니다.

꼭 돈이 아니어도 공단 공원화나 시민축구단 운영 등 자신의 공약을 지켜 정치적 이득을 챙겼다고 보고 있습니다.

이 대표는 ″단 한 푼도 챙긴 적 없다″며 강하게 반박해 왔습니다.

MBC뉴스 손구민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