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데스크박성호

서로 원하는 것 얻은 '한미'…경계심 커진 중국

입력 | 2021-05-22 20:16   수정 | 2021-05-22 20:47

Your browser doesn't support HTML5 video.

◀ 앵커 ▶

끝으로 이번 한미 정상회담을 통해 어떤 부분에 의미를 둘 수 있을지, 앞으로 미국이나 중국과의 관계에 어떤 영향이 있을지 짚어보겠습니다.

워싱턴 연결돼 있습니다.

박성호 특파원, 이번 회담에서 한미 두 나라가 서로 원하는 것을 얻었다, 이렇게 볼 수 있을까요?

◀ 기자 ▶

네, 서로 주고받기를 통해 챙길 건 챙긴 모양새입니다.

우선 미국은 자신들이 절실했던 분야에서 한국의 도움을 얻었습니다.

미국은 지난 2월 공급망 강화가 필요한 핵심 품목으로 반도체, 배터리를 지정했는데, 여기에 한국이 대규모 투자로 응답했습니다.

이걸 지렛대 삼아 한국은 일시적으로 공급이 절실했던 백신을 얻게 됐고, 장기적으론 한국내 백신 생산시스템 구축이 가능해졌습니다.

안보 문제도 그렇습니다.

한미 공동성명에는 북미간 싱가포르 합의는 물론이고 남북 정상의 판문점 선언을 존중한다는 문구가 명시됐습니다.

한국이 원하던 바가 반영된 겁니다.

대신 반대급부라고 할까요, 공동성명에는 중국이 민감해하는 부분이 꽤 포함됐습니다.

대만 해협의 안정과 평화를 강조하는 문구가 처음으로 들어갔고, 중국을 견제하는 4개국 협의체 ′쿼드′의 중요성을 인식한다,

미중간에 경쟁 분야인 5G 기술에서도 한국이 협력한다는 내용도 있습니다.

미국이 원하던 바가 반영된 겁니다.

◀ 앵커 ▶

네, 그러니까 한미 동맹이 더 끈끈해진 셈인데... 중국 입장에서는 신경이 쓰이겠습니다?

◀ 기자 ▶

맞습니다. 한미 동맹은 지평이 넓어졌다고 볼 수 있습니다.

기존의 안보 동맹을 넘어서 이젠 기술 동맹, 경제 동맹의 차원까지 복합적이 됐다는 평가가 나옵니다.

한미 공동성명에도 동맹 관계의 새로운 장을 시작한다고 나옵니다.

그런데 중국 입장에선 달갑지 않을 겁니다.

한국이 미국 백신의 생산기지가 되면 중국의 백신 외교를 견제하게 되고, 한국이 반도체와 배터리 공급망 협력을 하면 미국은 중국 의존도에서 벗어날 수 있습니다.

한국의 미사일 사거리 제한을 푼 것도 중국의 군사력 팽창을 견제하는 걸로 비칠 수 있습니다.

문재인 대통령은 중국 관련한 압박은 없었다고 밝혔지만, 중국 관영 매체는 벌써 예민한 반응입니다.

미일 정상회담에 이어서 한국도 대만 문제를 거론하자 내정간섭이다, 미국이 반중국 노선에 한국을 끌어들였다는 겁니다.

지금까지 워싱턴에서 전해드렸습니다.

(영상취재: 임상기(워싱턴)/영상편집: 양홍석)

MBC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02-784-4000
▷ 이메일 mbcjebo@mbc.co.kr
▷ 카카오톡 @mbc제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