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투데이이성일

[뉴스 속 경제] '저PBR'주식 열풍‥시장 재평가로 이어지려면?

입력 | 2024-02-16 07:40   수정 | 2024-02-16 07:49

Your browser doesn't support HTML5 video.

◀ 앵커 ▶

금요일 뉴스 속 경제 시간입니다.

설 연휴를 전후해서 주식 시장이 오랜만에 의외의 이유로 강세를 나타냈습니다.

이성일 기자와 배경과 전망 짚어보겠습니다.

일단 강세를 나타낸 이유가 뭡니까?

◀ 기자 ▶

요즘 주춤했지만요.

최근 상승세만 이끈 주식들이 오랫동안 투자자들의 관심 밖에 있었고요.

또 ′PBR이 낮았다′ 이런 공통점이 있었습니다.

PBR 기준으로 주가가 낮은 기업들이 몰린 보험, 증권, 유통 산업에서 주가 상승 두드러졌는데, 주가가 지난 2주 사이에 평균으로 20~30%씩 오를 정도였습니다.

상승장의 직접 계기는 PBR이 낮은 기업들이 스스로 주가를 올리는 방안을 찾도록 유도한다는 지난달 17일 정부 발표였습니다.

일본에서도 작년 3월에 뜻은 비슷하지만, 더 강한 정책, 주가를 못 올리는 기업들 상장폐지까지 할 수 있다. 이렇게 압박하는 방법을 썼었는데, PBR이 낮은 기업들 주가가 오르는 효과를 냈었습니다.

일본의 주가지수가 최근에 3만 8,000선까지 넘어서면서 버블 붕괴 이후 34년 만에 1990년도 주가를 회복하는 나름의 역사적 수준까지 오르면서 이 정책이 소환, 또 재조명 된거죠.

우리나라에서도 비슷한 효과를 낼 것이라는 기대 덕분에 구체적 내용이 나오기도 전에 주가부터 끌어올린 겁니다.

◀ 앵커 ▶

′PBR′이라는 용어가 여러 번 나왔는데, 이게 어떤 뜻입니까?

◀ 기자 ▶

기업의 주가 수준을 평가하는 지표 가운데에서요.

주식 시장의 기업에 대한 평가인 시가총액 하고 기업의 재산, 건물, 공장, 기계의 장부 값을 모두 합한 금액을 비교한 숫자를 주가순자산 비율이라고 하는데 영어 약자가 PBR입니다.

비율로 표시하는 지표다 보니까 중요한 기준점이 1이 됩니다.

어떤 기업의 PBR이 1을 넘었다는 말의 뜻은 공장을 짓는 데 100억 원을 투자한 기업이 경영 활동을 통해 주식 시장에서는 이보다 비싸게 150억 원, 200억 원으로 평가를 받고 있다는 말이거든요.

우리 기업들을 보면 어떨까요?

코스피 시장에 상장된 기업 3분의 2가 PBR의 1에 미치지 못하다 보니 평균도 1 미만입니다.

대만 또 일본보다도 낮은 수준이죠.

우리가 알만한 대기업 중에도 금융, 유통기업들은 0.2에도 못 미치는 경우가 있고요.

글로벌 기업인 현대차도 0.5에 미치지를 못합니다.

투자자 입장에서 좀 냉정하게 이야기하면 회사 문 닫고 땅이나 기계 팔아서 나눠 가지는 게 더 이익이 된다, 이런 박한 평가를 받고 있는 겁니다.

◀ 앵커 ▶

그러니까 우리 기업들이 조금 저평가를 받고 있다는 얘기잖아요.

◀ 기자 ▶

그렇죠.

◀ 앵커 ▶

이유가 뭡니까?

◀ 기자 ▶

실물을 맡은 증권거래소에서는 일본의 밸류업 프로그램과 같은 비슷한 방법을 지금 검토하고 있는데요.

신임 이사장도 취임 첫 과제로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을 지원을 하겠다는 의지를 밝혔죠?

일본을 보면 기업이 번 돈을 주주에게 돌려주는 이런 ′주주 환원 정책의 부족′을 원인으로 지적을 했었거든요.

이를 해소할 길로 기업의 배당 또 자사주 매입을 늘리도록 했었습니다.

◀ 앵커 ▶

일본식 주주 환원 정책, 이거 우리나라 시장에서도 좀 효과를 낼 수 있을까요?

◀ 기자 ▶

기업들이 배당 또 자사주 매입을 확대하면요.

효과는 즉각적으로 나타날 것이 분명합니다.

하지만 얼마나 효과가 지속될지는 미지수입니다.

일본 시장도 분석을 해보면 PBR이 낮았던 저평가 주식의 주가 상승은 6개월 뒤에 정점에 이르고 그 이후에는 좀 기세가 꺾였었습니다.

그 뒤로 계속된 일본 주가의 역사적 상승 흐름에는 기업의 실적 또 저금리, 엔화, 환율 같은 다른 요인으로 그 이유를 찾아야 할 것 같습니다.

◀ 앵커 ▶

정부는 재평가를 좀 목표로 하고있는 것 같은데, 그러려면 아무래도 좀 장기적으로 효과를 유지할 방법을 찾아야겠네요.

◀ 기자 ▶

맞습니다.

기업이 주주를 대하는 태도를 좀 바꾸도록 유도할 수 있는 그런 제도들을 설계를 할 필요가 있는 거죠.

우리 기업을 보면요.

주가에 도움이 되는 게 대주주 일가에게 유리한 게 이 둘이 좀 부딪힐 경우에 예외없이 후자, 즉 대주주에게 유리한 결정을 내리고는 합니다.

팬데믹 이후의 사업을 봐도요.

2차전지 사업처럼 유망한 사업 부문을 키우기 위해서 별도 회사로 떼어낸 경우들이 있었는데 주주들이 두루 이익을 보는 방법 대신에 대주주 일가, 경영권 유지에 유리한 방법을 대부분 선택을 했었습니다.

주가가 2~30%씩 떨어졌지만, 이를 막을 제도가 없고요.

주주는 보상을 받지도 못했습니다.

정부가 이것에 대해서 방지책을 검토를 하고 있는데 워낙 큰 변화라 지금 쉽게 결론을 내리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죠.

또 다른 한편에서는요. 창업자 시각에서 주가가 오르는 것을 반기지 않게 만드는 제도, 예를 들어 높은 상속세율 같은 것들을 시장 재평가의 걸림돌로 지목을 하고 있습니다.

처음에는 이게 단순해 보이지만 한 발 더 들어가면 이처럼 기업 소유권, 경영권을 둘러싼 예민한 이슈를 건드리는 정답 없는 문제 풀이로 이어지는 건데요.

하지만 이런 복잡한 이슈를 잘 풀어내야 단기적 부양에서 그치지 않는다는 점, 명심해야 할 겁니다.

◀ 앵커 ▶

이성일 기자, 잘 들었습니다.